수면·일주기 리듬 조절하는 뇌 속 솔방울샘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첫 연구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다양한 카페인 함유 음료의 영향 후속 연구 필요”
[현대건강신문] 하루 커피를 3잔 이상 마시는 사람이 노년에 수면의 질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람의 수면은 햇빛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특히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빛과 수면의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빛에 노출되는 낮 기간에 멜라토닌의 분비는 억제되고, 반대로 밤에는 분비가 활성화되어 수면에 이르게 된다. 이 멜라토닌을 분비하는 곳은 뇌 속 ‘솔방울샘(송과체, Pineal Gland)’이라는 기관으로 수면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수면에서 깨어나기 위해 마시는 경우가 많고 이는 커피 속에 다량 함유된 카페인이 각성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인데, 이러한 단기적 효과 외에 커피가 인간의 수면에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박정빈 등)은 무작위로 선정한 성남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평균적으로 하루 3잔 이상의 커피를 20년 이상 섭취한 경우 노년에 수면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일일 평균 커피 소비량과 평생 커피 소비 지속 시간을 곱해 ‘평생 누적 커피 소비량’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54명씩 3분위로 그룹을 나눴다. 이후 각 그룹별로 고화질 MRI(자기공명영상장치) 및 PSQI(수면의 질 척도)를 통해 솔방울샘의 부피와 수면의 질을 평가했다.
그 결과, 하루 평균 3잔 이상씩 20년 이상 마신 그룹의 솔방울샘 평균 부피는 약 70㎣로, 섭취량이 그보다 적었던 중간 그룹과 적은 그룹의 약 90㎣에 비해 20% 이상 작았다. 각 그룹의 하루 평균 커피 섭취량은 각각 3.06잔, 1.3잔, 0.64잔이었다.
또한 솔방울샘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수면의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장기간 커피를 과다 섭취할 경우 솔방울샘에 영향을 미쳐 노년기에 수면의 질이 나빠질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김기웅 교수는 “장기적 관점에서 커피 소비와 수면의 관계를 처음으로 연구한 논문으로서 의의가 있다”며, “커피의 어떤 성분이 솔방울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요즘 소비량이 급격히 늘고 있는 다양한 카페인 함유 음료가 송과체나 수면에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으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수행 중인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에 따라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수면과 관련한 저명 국제 저널인 ‘수면(SLEEP)지’의 7월호에 게재됐다.
주 5일 이상 패스트푸드 섭취 청소년서 천식 많이 발생 ... 보라매병원 양민석 교수 밝혀 (0) | 2018.10.31 |
---|---|
식약처 국정감사 최고 이슈 ‘부실한 해썹(안전관리인증기준)’ (0) | 2018.10.17 |
온라인서 선풍 끈 클렌즈주스, 다이어트·디톡스 효과 없어 ... 식약처 조살 결과 발표 (0) | 2018.10.02 |
국민들 즐겨먹는 패류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0) | 2018.10.01 |
지속되는 폭염에 식품안전 비상 (0) | 2018.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