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배불리는 비급여 통제 반대” ... 물리치료사협회, 남인순-이정문 의원과 국회 토론회 개최

물리치료사 “보험사 배불리는 비급여 통제 반대”
남인순 의원·물리치료사협회, 비급여 관리 및 실손보험 개혁 방안 토론회 개최
남 의원 “도수치료 관리급여 전환 시 환자 접근성 저하”
이정문 의원 “환자 경제 부담으로 적절한 치료 못 받아”
양대림 물치협 회장 “당사자와 아무런 협의 없이 밀어붙여”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물리치료사들이 정부에서 발표한 ‘비급여 관리·실손보험 개혁 방안’이 보험사를 배불리는 정책으로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낮춘다고 반발했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비급여 관리 개선 및 실손보험 개혁방안을 논의하는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마련해 올해 초 공청회를 가졌다.
정부는 일부 비중증·과잉 비급여 진료가 건강보험 재정을 갉아먹고 필수의료를 약화시킨다고 판단하고, 남용 우려가 큰 비급여를 선별하여 관리급여로 전환했다.
동시에 미용·성형 목적의 비급여 진료가 건강보험 급여 진료와 병행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급여 진료를 전액 본인 부담으로 하는 병행진료 급여 제한 방안도 구체화했다.
정부안에 따르면 관리급여에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등 반복적인 통증치료가 포함되고 환자 본인부담금은 95%까지 올라간다.
의료 현장에서 도수치료를 맡고 있는 물리치료사들은 정부안이 발표되자 강하게 반발하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 이정문 의원과 공동으로 ‘비급여 관리 및 실손보험 개혁 방안 토론회’를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했다.
남인순 의원은 “도수치료를 관리급여로 전환하면 환자 치료 접근성이 저하되고 병의원의 물리치료 서비스 축소될 것”이라며 “결국 의료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물리치료사들이 의료 현장에서 실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우려했다.
정무위 소속으로 실손보험에 관심이 많은 이정문 의원은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등 근골격계질환 치료와 같은 필수 비급여 항목들이 실손보험에서 배제될 경우, 실수요가 있는 환자들이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물리치료사들 1백여 명이 참석해 ‘보험사만 배불리는 불합리한 의료개혁 국민들은 반대한다’는 손팻말을 들고, 의원들이 도수치료를 관리급여에 포함시키는 정부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자 큰 박수로 화답했다.
토론회를 주관한 대한물리치료사협회 양대림 회장은 “정부 안이 당사자인 물리치료사 단체 등 유관단체와 아무런 협의 없이 밀어붙이기 식으로 이뤄지고 있어 이번 토론회를 개최하게 되었다”며 “도수치료의 본인부담률을 높이면 환자들이 부담해야 할 실비용은 더욱 커질 것이고 이는 오히려 ‘국민 의료비 부담 경감’이라는 목적과 상충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발제를 한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박현식 회장도 “정부 안이 시행되면 근골격계질환 환자들이 실손보험을 활용해 치료 받기 어려워지고 결국 물리치료를 포기하게 될 것”이라며 “비급여 특약 개편으로 특정 치료법이 제외되면 환자의 선택권이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