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윤석열 정부 약자복지, 세대 나누는 분할 정책” ... 주은선 경기대 교수 지적

현대건강신문 2025. 1. 8. 15:45

 

 

“윤석열 정부 약자복지, 세대 나누는 분할 정책”

사회정책분야 2024 평가서 주은선 경기대 교수 지적

“‘나중에 연금 못받는다’라는 과장된 공포와 거짓도 이뤄져”

“플랫폼 기업에 사회보험료 부담 제도 도입해야”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약자복지’가 세대를 나누는 정책으로, 이로 인해 약자와 약자가 아닌 자를 분할하고 있다”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8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사회정책분야 2024 평가와 2025 전망 노동시민사회 포럼’에서 이렇게 말하며 약자복지를 넘어 중간층까지 아우르는 소득보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정부가 대표적인 보건복지 정책으로 추진했던 ‘약자복지’ 정책에 강한 우려를 표시한 주은선 교수는 “약자 복지는 오만한 관점으로, 누구를 약자라고 부를지, 취약한 청년을 (약자라고) 부를지 상당히 분할적인 복지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정부 들어 ‘나중에 연금을 못받는다’는 과장된 공포와 거짓이 있었다”며 “윤 대통령은 브리핑에서 ‘세대 간 형평성’이었지만 국민연금을 삭감해 노후보장을 축소하는 것은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 교수는 윤 정부 시기 보건복지부에서 등장한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라는 단어도 복지 삭감을 위장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동조정장치’는 삭감하는 표현이 아니다. 유연성도 중립적 단어인데 이런 중립적 담론을 명분으로 삼는 것을 몇 년 동안 지켜봤다”며 “이런 것을 넘어 소득보장제도의 기본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다양한 소득보장제도의 사각지대를 줄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코로나19 대유행을 지나며 △노동자 절반만 포괄하는 고용보험 △노동자의 70%만 포괄하는 국민연금이 굳어지는 상황이다.

주 교수는 “배달노동자, 퀵서비스 노동자 등 특고노동자를 사업장 가입자로 전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불안정노동자의 사회보험 가입을 확대시키는 것이 이뤄지고, 플랫폼 기업이 사회보험료를 부담하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