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탄핵하고, 윤의 핵 폭주 정책 폐기해야” ... 후쿠시마 핵사고14년 탈핵-민주주의행진




“윤석열 탄핵하고, 윤의 핵 폭주 정책 폐기”
서울 광화문서 후쿠시마 핵사고14년 탈핵-민주주의행진
탈핵시민행동 이영경 위원장 “민주적이지 않은 핵 전기서 벗어나야”
동해삼척기후위기비상행동 하태성 대표 “핵폭주 정책 막으려면 개헌해야”
한 살림연합 이윤진 의장 “방사능 오염수, 우리 먹거리 영향”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탈핵-기후환경-종교단체들은 후쿠시마 핵사고 14년을 맞아, 15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윤석열 정부의 핵 폭주 정책을 탄핵하고 에너지민주주의와 기후정의를 요구하는 ‘탈핵-민주주의 행진’을 개최했다.
탈핵-민주주의 행진에는 삼척, 밀양, 전북 등 주민들도 참여하여 신규핵발전소 건설 및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 송전탑 건설을 규탄했다.
당일 집회 참가자 일동은 후쿠시마 핵사고 14년을 기리면서 “윤석열 탄핵을 넘어, 윤석열의 독선적인 핵 폭주 정책을 폐기하고, 민주주의 회복과 핵없는 사회를 만들 것”을 선언했다.
탈핵시민행동 이영경 집행위원장은 “민주적이지도, 생태적이지도, 안전하지도 않은 핵 전기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연대의 마음과 탈핵의 목소리를 외치기 위해서 많은 동지들이 이자리에 모였다“며 “오늘의 행진은 민주주의와 탈핵을 열고, 새봄, 새 세상을 만드는 시작이 될 것이다. 끝까지 함께 하자”고 말했다.
종교환경회의 양기석 신부는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핵진흥정책을 보면, ‘사람이 어찌도 이리 매정하고 악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윤석열 정부와 그들이 추진하는 핵진흥 정책은 우리 사회의 탐욕을 부채질하고 결국 파멸의 길로 유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핵발전소 투쟁을 해온 주민들의 발언이 진행되었다.
3번이나 핵발전소 신설을 백지화 시킨 동해삼척기후위기비상행동 하태성 대표는 “후쿠시마 핵사고가 난지 14년이 지났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아직도 핵사고의 위험을 무시한 채 핵 확대 정책에 여념이 없다”며 “대한민국의 핵폭주 정책을 막으려면 개헌을 해야한다. 6공화국을 끝내고 개정되는 헌법에 탈핵을 명문화하여 핵사고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7공화국으로 가야한다. 탈핵개헌으로 안전한 탈핵국가 대한민국을 만들자”며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지현 탈핵에너지전환전북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한빛 1·2호기는 곧 설계수명 40년이 만료되는 노후 핵발전소”라며 “우리는 후쿠시마 핵사고가 30년이 넘은 노후 핵발전소에서 발생했다는 것, 그리고 가장 먼저 폭발이 일어난 발전소가 바로 수명 연장한 발전소였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류민 기후정의동맹 활동가는 “정부와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과 발전 노동자들의 민주적인 협력으로, 핵발전이 아닌 공공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정의롭게 생산하고, 그 전기가 평등하고 평화롭게 흐르는 길을 함께 찾아갈 수 있다”며 “전기가 눈물을 타고 재벌 대기업들의 이윤을 위해 흐르는 것이 아니라, 모두의 존엄을 향해서, 고르게 흐르게 하자. 우리의 민주주의로, 윤석열과 윤석열들의 세상을 끝내고, 기후정의, 존엄한 삶을 함께 만들어 가자”고 민주주의와 기후정의가 연결돼 있음을 강조했다.
한살림연합 환경활동회의 이윤진 의장은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에 대해 “지금까지 11차례나 방류했고 앞으로 최소한 30년간 계속될 예정이지만 언제 멈출 것일라는 보장이 없다”며 “정부는 기준치 이하라 안전하다 말하지만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퍼져 생태계에 축적되면 우리의 먹거리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국민들의 불안을 ‘괴담’이라 치부하며 일본 정부만 두둔하고 있다”라며 “바다는 생명이 숨 쉬는 공간이며, 우리의 식탁을 책임지는 터전이다. 바다가 안전하지 않다면, 우리의 먹거리도 안전할 수 없다”라고 강조하며 오염수 방류 중단을 위한 공동행동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