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젊은 고혈압 유병자 눈여겨 봐야” ... 대한고혈압학회 2024년 현황 보고서

대한고혈압학회 신진호 이사장은 지난 9일 “전국민 대상 건강검진으로 고혈압 진단율이 높아졌고, 접근성 높고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혈압 관리 수준이 빠르게 향상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20·30대 고혈압 유병자는 89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들 중 36만 명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13만 명만이 지속적으로 치료받고 있다. 고혈압 의료이용자 중에서의 지속 치료율도 20대에서는 24%, 30대에서는 40%로 다른 연령대 대비 매우 낮다. (자료=대한고혈압학회)
문제는 20·30대 젊은 고혈압 유병자
20·30대 젊은 고혈압 환자 89만명 중 13만명만 치료
고혈압학회 ‘고혈압 현황 보고서 2024’ 발표, 고혈압 환자 1,300만명
전체 고혈압 환자 60%, 2제 이상 복합제로 치료받아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20·30대 청년층 고혈압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인지율은 개선되고 있지만, 치료를 지속하는 경우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고혈압학회는 지난 9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고혈압 현황 보고서 2024’를 발표했다.
이번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 20세 이상 인구의 30%인 1,300만 명이 고혈압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에서 △남성 720만 명 △여성이 580만 명 △65세 이상이 580만 명을 차지했다.
고혈압 유병자 중 △인지율은 77% △치료율은 74% △조절률은 59%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다만, 20·30대 청년층 고혈압 유병자의 △인지율은 36% △치료율은 35% △조절률 33%로 점차 개선되고는 있지만, 아직 다른 연령대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1990년대까지만 하여도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극히 일부만 적절하게 치료받았지만, 지난 30여 년간 우리나라 고혈압 관리 수준이 빠르게 향상되어 현재는 1,150만 명의 고혈압 환자가실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1,090만 명이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받으며, 810만 명이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문제는 2030대 젊은 고혈압 유병자들이다. 20·30대 고혈압 유병자는 89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들 중 36만 명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13만 명만이 지속적으로 치료받고 있다. 고혈압 의료이용자 중에서의 지속 치료율도 20대에서는 24%, 30대에서는 40%로 다른 연령대 대비 매우 낮다.
대한고혈압학회 역학연구회장 김현창 교수(연세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국제보건통계나 역학연구에서 우리나라의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이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인구 전체의 평균 혈압이 가장 많이 감소한 나라로도 꼽힌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30년간 우리나라의 연령표준화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이 80%가까이 감소하였는데, 여기에도 성공적인 혈압조절이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그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발간한 세계고혈압보고서(WHO Global Report on Hypertension)도 우리나라를 고혈압 관리 모범사례로 여러 차례 언급하고 있다”며 “하지만, 고혈압의 유병률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았고,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전체 고혈압 환자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고혈압 예방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들의 치료 현황을 보면, 전체 고혈압 치료자 중 40%가 단일 제제로 치료받고 있으며, △44%가 2제 요법으로 △16%는 3제 이상의 병합요법으로 치료받고 있다.
고혈압 치료자의 △76%가 안지오텐신차단제 △62%가 칼슘통로차단제 △23%가 이뇨제 △15%가 베타차단제를 처방받고 있다.
대한고혈압학회 이사장 신진호 교수(한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전국민 대상 건강검진으로 고혈압 진단율이 높아졌고, 접근성 높고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혈압 관리 수준이 빠르게 향상될 수 있었다”며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고혈압 조절률이 아직도 뚜렷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학회는 환자중심의료를 기반으로 치료지속성과고혈압 조절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학술활동 뿐 아니라, 고혈압의 전 세계적인 질병부담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 활동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