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논란...시민들 “국립공원 개발 재앙 부른 환경부 장관 사퇴해야” ... 설악산케이블카지키기국민행동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논란...시민들 “국립공원에 개발 재앙 부른 환경부 장관 사퇴해야”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에 분노한 시민들, 국립공원의날 기념식서 환경부 규탄
설악산, 국립공원·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 5겹 보호
국민행동 박그림 대표 “케이블카 승인 개발 빗장 여는 것”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설악산에 케이블카 설치를 사실상 허가한 환경부를 규탄하기 위해 전국에서 1백여 명의 시민들이 광주에 모였다.
지난 3일 국립공원의날 기념식이 열린 광주 무등산국립공원에는 환경단체 회원 등 전국에서 1백여 명의 시민들이 모여 설악산 케이블카를 허가한 한화진 환경부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지난달 27일 환경부는 ‘조건부 협의’ 결정으로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을 허가했다.
설악산은 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 백두대간보호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5겹의 국내외 환경보호제도로 보호받고 있다.
지난 2019년 환경부는 “(설악산 지역이) 자연생태계의 질을 보전, 관리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지역”이라고 밝히며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사업 ‘부동의’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2023년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한국환경연구원(KEI)을 비롯한 5개 기관의 명백한 부정적 의견에도 ‘조건부 협의’라는 정치적 결정을 내렸다.
이번 결정으로 전국 국립공원에서 추진 중인 케이블카 사업 등 개발이 줄줄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무등산국립공원에 모인 시민들은 “설악산을 파괴하는 결정을 내려놓고 국립공원의 날을 기념하는 환경부의 몰염치함을 규탄한다”며 “환경 파괴에 앞장서는 한화진 장관의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박그림 공동대표는 “설악산 케이블카를 승인하는 것은 개발의 빗장을 여는 것으로, 지리산·속리산·무등산 등 줄줄이 이어지는 케이블카의 광란을 누가 막을 수 있나”고 규탄했다.
박 대표는 “전 국토의 4% 밖에 되지 않는 보호구역을 보전하지 못해 아이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을 누릴 수 없다면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냐”며 “우리는 끝까지 지켜낼 것”이라고 국토 보존 의지를 밝혔다.
지리산생명연대 최세현 공동대표는 “설악산 다음은 지리산이 될지 모른다”며 “지리산은 물론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이 허가 되었다고해서 싸움이 끝난 게 아니고, 최소한 국립공원만은 지켜낼 수 있도록 다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지리산 케이블카 사업 신청은 이제까지 3번이나 반려됐지만 이번 설악산 케이블카 승인으로 사업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리산사람들 윤주옥 공동대표는 “국립공원의 케이블카와 산악열차가 경제성도 없고, 그곳에 살고 있는 동식물도 파괴하고, 결코 주민들의 삶도 나아지지 않는다는 객관적인 사실이 있다”며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도리와 존엄을 지키기 위해 우리 곁에 있는 산양, 반달가슴곰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은미 의원(정의당)도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열린 집회를 찾아 “환경부 공무원분들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킬 기회는 국립공원공단에서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사업을 허가해 주지 않는 것”이라며 “환경부는 국립공원을 훼손하는 것이 아닌 보전하는 방향과 국토의 보호 지역을 확대하는 등 기후위기 시대에 맞는 정책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국립공원을 사랑하는 시민들 △국립공원무등산지키기시민연대 △설악산국립공원지키기국민행동 △강원행동 △케이블카반대설악권주민대책위 △지리산산악열차반대대책위가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