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당뇨환자들 최신 의료기기 사용률 현저히 낮아 ... 대한당뇨병학회 간담회

문준성 총무이사(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인슐린 펌프, 연속혈당측정기 등 당뇨병 관리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지만, 정부 정책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보다 유연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당뇨병학회는 11일 한국사회복지회관에서 '2023년 추계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들의 최신 의료기기 사용률이 현저히 낮다며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당뇨병학회의 교육 및 환자관리 사업에 대해 발표한 문준성 총무이사(영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당뇨병 관리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다며, 최신 의료기기 사용을 늘려야한다고 제언했다.
우리나라의 최신 의료기기 사용률은 타국에 비해 현지 낮다. 실제로 2021년 출시된 최신형 자동 인슐린 펌프인 Minimed 770G의 경우 일본에서는 8800여명이 사용 중이지만, 우리나라는 사용자가 120여명에 그치고 있다.
문 이사는 "일본의 경우 인슐린 펌프 등과 관련해 치료 및 관리 수가가 지정돼 있어 환자가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기기 관리를 받을 수 있다"며 "이에 처방하는 의사의 기기 사용률이 증가했고, 결과적으로 혈당 개선 및 합병증 감소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또, 병원에서 직접 기기 및 소모품을 관리하고 처방할 수 있도록 해 복잡한 절차없이 현물로 환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기기 접근성을 높일 수 있었다.
문 이사는 "일본은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 펌프에 대한 치료/관리 수가 부가로 우리나라대비 사용자가 많다. 이로 인해 합병증 발생으로 인한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연속혈당측정기 연동 인슐린 주입기 정책은 2018년 8월부터 1형당뇨병환자에서 펌프 소모품을 보험 급여화했고, 2020년 1월 펌프기기를 보험 급여화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신 인슐린 펌프 사용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문 이사는 "요양비로 분류되어 있고, 펌프 소모품 항목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일본과 같은 펌프 렌탈 시스템이 없다"며 "인슐린 펌프, 디지털 펜과 관련된 의사의 치료 및 교육과 관련된 수가도 아예 없다"고 지적했다.
인공췌장 알고리즘 인슐린 주입기, 연속혈당측정기 연동/비연동 펌프 모두 동일한 요양비가 기준으로 효능에 따른 차이가 없고, 연속혈당측정기 연동 패치 펌프는 요양비 적용이 되지 않는 것도 최신 의료기기 사용을 막는 장벽이다.
문 이사는 "디지털 기기들의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성능 및 유통 관리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기기 성능 수준에 따른 비용 산정을 구분화해야 한다"며 "또 꼭 필요한 이들에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도록 요양비 제도를 변경하고, 인슐린 펌프 렌탈 등 유연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당뇨병학회 원규장 이사장(영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은 창립 55주년을 맞은 대한당뇨병학회의 미래에 대해 발표했다.
원 이사장은 “지난 2018년 학회 50주년을 맞이해 대한당뇨병학회 10년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며 “초격차 대한당뇨병학회를 비전으로 △상생과 화합의 가치로 도약하는 초격차 대한당뇨병학회, △후속세대 양성으로 미래를 여는 대한당뇨병학회, △아시아를 넘어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당뇨병학회 등 대부분이 실현됐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당뇨병학회는 상생과 화합을 기치로 미래를 열기 위해 후속세대 양성에 주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