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확진자 40만명 육박...3월 14일부터 바뀌는 방역체계

60세 이상,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즉시 처방
이번 방역조치, 오미크론 변이 정점 도달하는 3~4월 시행
21일부터 해외 입국자 중 접종 완료·등록자 격리 면제
4월 1일부터 해외 입국 후 대중교통 이용 가능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하루 확진자가 40만 명에 육박하는 등 감염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14일부터 의료기관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는 경우 따로 PCR 검사 없이 바로 격리와 재택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방역체계를 변경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4일부터 한 달 동안 의료기관의 신속항원검사가 양성일 경우에는 추가로 PCR 검사를 받을 필요 없이, 바로 PCR 검사 확진자와 동일하게 격리와 재택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최근에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양성예측도가 크게 상승했다”며 “또한, PCR 검사가 한계까지 도달한 상황이다. 보다 빨리 진단하고 먹는 치료제를 빨리 처방하기 위해서 중증화를 낮추기 위함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의료기관에서 받은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양성이면 PCR 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다. 보건소의 확진 판정 문자도 기다릴 필요가 없이 바로 호흡기진료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60세 이상의 경우 바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처방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통제관은 “먹는 치료제 경우에는 최근 일주일간 평균 1,733건의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이 치료제는 중증화를 막는 효과가 많다고 평가를 전문가들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동네 병의원은 양성으로 나온 환자를 보건소에 바로 신고해야 하며, 보건소에서는 기초역학조사를 포함해서 빠른 절차 진행을 통해 재택치료를 결정해 달라”며 “역학조사 결과, 환자분들은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나누어지고 건강관리방법도 달라지게 되어 있다”고 전했다.
이번 방역대책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앞으로 한 달간 한시적으로 시행된다.
이 통제관은 “이번 개선을 통해 확진자의 신속한 관리로 환자관리 공백을 방지하고 중증화를 예방하는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 코로나 의심증세가 있는 국민들께서는 가까운 호흡기진료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해외입국 관리체계도 개편된다. 오는 21일 월요일부터 모든 입국자에 대해서 실시하고 있는 7일간의 격리를 국내 또는 해외에서 접종을 완료하고 접종이력을 등록한 사람들의 경우 격리가 면제된다.
또, 4월 1일 금요일부터는 해외에서 접종하였으나 접종이력을 등록하지 않았더라도 격리가 면제된다.
다만, 국가별 위험도와 국내 방역상황을 고려해서 위험도가 높은 국가에서 입국하는 경우에는 접종완료자라 하더라도 격리대상이 된다. 현재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미얀마 등 4개국은 격리면제 제외 국가로 지정하여 예방접종 완료자로 격리되고 있다.
예방접종 완료를 기준으로 노바백스를 포함한 세계보건기구(WHO) 인증 백신으로 2차 접종 후 14일이 경과하고 180일 이내인 경우와 3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이다.
이 통제관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접종이력을 COOV 시스템 등을 통해서 국내, 국내에서 이미 등록한 사람은 3월 20일부터 격리가 면제된다”며 “그러나 접종이력 확인이 안 된 사람은 4월 1일부터 입국 시에는 검역정보 사전입력 시스템을 통해 직접 접종이력을 입력해야만 격리가 면제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4월 1일부터는 입국 이후 방역택시, KTX 전용칸 등은 방역교통망은 운영을 중단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