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활용 가뭄 대책에...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 “고인물 썩어, 흐르게 해야”

[사진] 4대강 보 활용 가뭄 대책에...환경단체 “고인물 썩어, 흐르게 해야”
“4대강 보 수문 닫으면 낙동강처럼 대규모 녹조 창궐”
“윤석열 정부, 4대강 보 살리겠다고 국민건강 외면”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시민위)는 지난 10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추진하는 4대강 보를 활용한 가뭄 대책을 규탄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가뭄대책을 주문하며 4대강 보 활용을 강조했다.
시민위는 “가뭄 대책인 4대강 보를 활용한 ‘물그릇론’은 현재의 가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 현장과 실무자, 전문가들의 주된 의견”이라며 “현재도 영산강과 금강의 보 수문을 개방할 때 취수와 양수에 문제가 없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질적 가뭄 피해지역은 4대강 본류와 떨어진 곳이기에 도수관로 등 기반 시설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 ‘물그릇’에 물을 가둬봤자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보로 수문을 개방하지 않아 흐르지 못하는 낙동강 유역은 매년 여름 대규모 녹조가 창궐해, 각종 간, 뇌, 생식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 녹조 독소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 강을 넘어 해수욕장까지 잠식하고, 쌀·무·배추 등 우리 국민의 밥상에서, 공기 중에서도 검출되고 있다”며 “국민 건강과 강의 자연성 회복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에 역행하는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서울뿐만 아니라 △금강유역인 세종시 환경부 앞 △낙동강 유역인 낙동강유역환경청 앞 △영산강유역인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동시에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