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장기재활치료 필요한 환자, 요양병원서 적절한 치료 못 받아” ... 대한재활의학회 이시욱 이사장

카테고리 없음

by 현대건강신문 2023. 10. 30. 13:37

본문

 
 

지난 27일 인천 그랜드하얏트인천에서 열린 대한재활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이시욱 이사장(오른쪽)은 “(급성기) 병원 퇴원환자들이 (요양병원에서 받는) 치료 질이 맘에 차지 않는데, 요양병원 평가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요양병원 입원환자가 기능이 좋아지면 요양병원에 입원할 이유가 없어지는 평가시스템으로, (현재는) 환자를 그대로 내버려두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기재활치료군 요양병원서 적절한 치료 못 받아”

대한재활의학회 추계학술대회서 ‘장기재활치료 환자군에 대한 요양병원의 역할’ 정책 토론회 가져

이시욱 재활의학회 이사장 “요양병원 평가시스템에 문제 있어”

최은석 재활의학회 회장 “한국형 재활 전달시스템 확립 시급”

[현대건강신문=인천 영종도=박현진 기자] 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점점 증가하는 가운데, 급성기 치료 이후,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이 입원하고 있는 요양병원의 재활치료가 적절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학병원급 이상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중심인 대한재활의학회 의사들은 급성기 치료 이후 장기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이 요양병원에 입원할 경우, ‘재활치료가 적절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 27일 인천 그랜드하얏트인천에서 열린 대한재활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에서 이시욱 이사장(서울시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교수)은 “(급성기) 병원 퇴원환자들이 (요양병원에서 받는) 치료 질이 맘에 차지 않는데, 요양병원 평가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며 “요양병원 입원환자가 기능이 좋아지면 요양병원에 입원할 이유가 없어지는 평가시스템으로, (현재는) 환자를 그대로 내버려두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게 팔다리를 움직여주는 것 이외에 적극적인 치료를 안하는 것으로 안다”며 “재활의학과 전문의 입장에서는 이들 환자에게 적극적으로 재활치료를 해서 회복하거나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급성기 치료 병원에서 퇴원한 이후 요양병원으로 가는 것이 아닌,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가능한 ‘유지기 재활치료 모델’이 시급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최은석 회장(대전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교수)은 “고령화로 골관절염 같은 퇴행성질환자부터 뇌졸중, 척추 손상 등 사고나 질환으로 인한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은 가정와 국가에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와 재활의학회가 ‘재활의료 전달시스템’에 대한 조율을 해오고 있지만, 급성기재활과 회복기재활에 시스템이 완성돼, 초기에 재활치료를 시행해 후유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한국형 재활시스템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개인적인 전제로 극심한 치매환자 등 재활치료가 필요 없는 환자군이 있는데, (재활치료가 가능한 환자군과) 이원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