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립재활원의 입원 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42,814명 △2023년 48,615명으로 증가했지만 의정갈등 여파로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18,204명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국립재활원 / 서미화 의원실 재구성)
“전공의 사직 후 국립재활원에 치료 멈춘 수준”
서미화 의원 국정감사에서 “장애인, 재활 치료 못 받아”
3월 전공의 12명 전원 사직 후 복지부 ‘차질 없어’
서 의원 “작년 같은 기간 대비 환자 2~3만명 줄어”
복지부 김국일 정책관 “진료 쉽지 않을 걸로 생각해”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국립재활원 전공의들이 사직한 이후, 입원 환자가 급감하는 등 장애인들이 극심한 불편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지난 3월 국립재활원 전공의 12명은 전원 사직서를 제출하고 재활원을 떠났다. 직후 보건복지부는 해명자료를 내고 “국립재활원 소속 전공의 사직서 제출에도 차질 없이 장애인 진료를 할 것”이라며 “재활의학과 의무직 공무원 12명을 중심으로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여, 정상적으로 외래 및 입원진료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의 발표와 달리 국립재활원 입원 환자가 급감하는 등 진료에 큰 차질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립재활원의 입원 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42,814명 △2023년 48,615명으로 증가했지만 의정갈등 여파로 2024년 1월부터 9월까지 18,204명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재활원 병상 가동률도 △2022년 65.9%, 2023년 77.6%에서 △2024년 1~9월 57.5%로 급감했다.
서미화 의원은 17일 열린 국회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정부가 촉발한 의정갈등으로 인해 작년에 비해 입원환자가 2~3만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장애인 재활치료 공백이 현실화돼, 국립재활원이 멈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장애인은 적기에 필요한 재활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한데 정부의 의료정책 실패로 장애인 환자들이 제때 필요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복지부가) 공언한 대로 차질 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보냐”고 질의했다.
국감장에 출석한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사실상 전공의가 나갔기 때문에 쉽지는 않을 걸로 생각한다”라며 말끝을 흐렸고, 서 의원은 “지금 국립재활원에 의사가 없어 장애인 환자들이 재활 치료를 못 받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정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장애인들이 받고 있는 상황으로, 국립재활원은 야간 당직 의사가 부족해 9월에 당직 의사 1명을 채용하고, 8월에는 원장이 직접 당직을 서기도 했다.
서 의원은 “국립재활원 슬로건은 ‘장애인을 건강하게 장애를 행복하게’”라며 “국립재활원의 책임운영기관인 복지부는 하루속히 정상화를 위해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종합감사 전까지 대책을 세워 의원실에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