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요양병원 간병비 부담 해결을 위한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방안 모색 토론회’가 열렸다.
복지부 박능후 장관 “만성기 환자 사업 모형 검토 필요한 시점”
이명수 위원장 “서비스 도입으로 투입되는 비용·인력 적지 않아”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를 위한 첫 걸음으로 지난해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연구 용역이 끝났지만, 서비스 표준화, 간병인 자격제도화 등 넘어야할 난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순구 원장은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요양병원 간병비 부담 해결을 위한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도입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지난해 진행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명순구 원장은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해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가 이뤄질 경우,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간병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시에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 추진’시 풀어야할 난제도 언급한 명 원장은 △간병인 자격제도화 △서비스 표준화 등을 통한 서비스 질 관리 △간병 인력의 근로조건과 처우 △수가제도 개선 등을 풀어야할 쟁점으로 봤다.
명 원장은 “많은 과제에도 불구하고 간병이 공적 보장의 대상이 되고 있음은 자명하다”며 “노인 간병의 문제에 대해서는 더욱 큰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와 토론회를 공동 주최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 위원장(자유한국당)도 “간병 문제는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고 공감하면서도 “서비스 도입에 따라 투입되는 비용과 인력이 적지 않아 당장 결론을 낼 수 있는 화두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축사를 통해 ‘요양병원 간병 급여화’에 대한 입장을 밝힌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앞으로 보편적 입원서비스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해 만성기 환자에 적합한 사업모형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밝혔다.
취약계층 진료한 성바오로병원 폐원, 재개발지역서 문 연 은평성모병원 (0) | 2019.03.28 |
---|---|
서울백병원, 일방적 ‘수련병원 포기’ 통보에 전공의 ‘당혹’ (0) | 2019.03.28 |
간호조무사협회 “공개 토론하자”, 간호협회 “필요성 못 느껴” (0) | 2019.02.28 |
서울대병원, 외래환자 전용 ‘대한외래’ 개원...25일 진료 개시 (0) | 2019.02.21 |
물치협 이근희 원장 "물리치료사법·학제 일원화 지속 추진“ (0) | 2019.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