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현장에서 질소산화물 농도를 측정하는 작업 모습. (사진제공=서울시)
광촉매 포장 전후 질소산화물 농도 측정결과 미세먼지 줄어
서울시 “기후‧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친환경 도로포장 지속 개발”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서울시가 차량 배기가스의 주성분이며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 지난 6월 28일 양재역 강남대로 차도상에 광촉매 포장재를 시험시공 했다.
이후 10월 말까지 효과를 검증한 결과, 미세먼지인 질소산화물이 포장 면에서 시공전보다 1.5배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중 질소산화물은 28%를 차지한다.
광촉매는 빛을 받아들여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흡수하는 등 정화기능을 가진 촉매제로 대기정화, 항균, 탈취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시가 이번에 처음으로 도로포장에 적용했다.
효과검증을 위해 도로포장에 흡착된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비교 측정해봤으며, 그 결과 광촉매재를 포장한 면에 흡착된 질소산화물 농도가 포장하지 않은 면보다 1.5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차량 배기가스의 주성분인 질소산화물이 포장면에 흡착되면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 확산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상 공간의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 검증을 위해 시험포장 구간에 위치한 대기측정소의 3년치 평균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질소산화물 발생량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감소추세였으며, 머물지 않고 흐르는 공기의 특성으로 인해 대기 중의 질소산화물 저감효과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밀폐용기의 공간에 질소산화물을 주입한 후 광촉매에 반응하는 실내시험도 함께 실시했으며,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재료 성능시험 결과 미끄럼 저항성은 최저 허용기준치(간선도로의 경우 47BPN)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재료의 부착성은 자동차 1만대 통행 시 재료의 소실률이 28%를 보이는 등 질소산화물 저감성능과 재료의 부착성능 모두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BPN(British Pendulum number)은 노면의 미끄럼 저항 수치이다.
광촉매 도로포장이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선 지속적인 기술향상과 공인된 현장검증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시는 앞으로 서울기술연구원과 협업해 보완하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김학진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사회적 문제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광촉매 포장기술을 시도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기후‧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지향적인 친환경 도로포장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해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 날씨...체감온도 영하 20도 ‘차가운 세밑 한파’ (0) | 2018.12.28 |
---|---|
오늘 미세먼지 농도...전국 ‘보통’ (0) | 2018.12.26 |
비행기 승무원 ‘방사선 피폭 문제' 개선 안돼 ... 김철민 의원 "철저한 관리 이뤄져야" (0) | 2018.11.09 |
초미세먼지로 한 해 사망자 1만 2천명 발생 (0) | 2018.11.05 |
라돈 침대 분쟁조정 ‘위자료 30만원 지급, 매트리스 교환’...대진침대 조정 수용 불가 (0) | 201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