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은 갑상선암 논쟁...“생존율 100%”, “사망자 증가”
의학한림원 ‘과잉 건강검진’ 주제로 포럼 개최
국립암센터 명승권 교수 “무증상 성인, 갑상선 초음파 검사 권고 안해”
서울대병원 박영주 교수 “전체 인구에서 갑상선암 사망률 증가”
서울성모병원 이재호 교수 “공공 의료기관 검진 상품 부끄럽다”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 “갑상선 초음파 검진 제외”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8년 만에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이 재점화됐다.
2014년 일부 의사들은 갑상선암이 1위 암으로 급상승한 원인을 ‘과잉 검진’에 찾았고, 대한갑상선학회(갑상선학회) 의사들을 중심으로 임상 현실을 모르는 의사들의 발표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논란이 커지자 2015년 3월 국립암센터가 주관하고 갑상선학회, 대한가정의학회와 다학제 전문가가 참여한 갑상선검진권고안 제정위원회가 구성돼, 권고안을 마련했다.
갑상선검진권고안 제정위원회는 무증상 성인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선암의 선별검사에 대해 이득과 위해의 균형을 평가하기에는 근거가 불충분해, 무증상 성인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선암 검진은 권고하거나 반대할 만한 의학적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일상적 선별검사로는 권고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
미국 질병예방서비스특별위원회(USPSTF)도 2017년 “무증상 성인에서 갑상선암 검진을 받지 않도록 권고한다”며 “초음파와 세침 검사를 통해 갑상선암을 진단할 수 있지만 이를 통한 선별검사가 사망을 줄이거나 기타 임상 지표를 향상시킨다는 근거는 불충분하다”고 밝혔다.
지난 2일 의학한림원은 ‘과잉 건강검진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 발표자로 나선 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 명승권 교수는 “암 선별검사 효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는 해당 검사를 통해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일 수 있는지 여부”라며 “하지만 무증상 성인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선암 검진이 갑상선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근거는 불충분하다”고 주장했다.
명 교수는 “갑상선암 (5년) 생존율은 100%로 질환이 없는 사람과 동일한 수준”이라며 “무증상 성인에서 암 선별검사 목적으로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권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갑상선학회 박영주 진료지침제정이사(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갑상선암 특성을 무시한 발표로 암 관련 사망자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영주 이사는 “갑상선암의 5년 생존율은 무시한다”며 “10년 정도 장기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박 이사는 “USPSTF 발표 이후 저희(갑상선학회)도 불필요한 수술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했고 기존에 대비해 수술이 30% 줄었다”며 “하지만 좋은 갑상선 종양이라도 안전하다는 정보가 있어야 하는데 자신 있게 (추척 관찰을) 권고할 분이 얼마나 되겠냐”고 말했다.
이어 “(갑상선암) 10년 내 사망률이 10%, 20년 20%로 올라가고 있다”며 “치료를 하지 않으면 어느 순간 돌변하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갑상선암 검사를 위한 초음파 검진 논란은 국립암센터, 서울대병원으로 확대됐다.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이재호 교수가 건강검진 상품을 조사한 결과 △국립암센터는 정밀 검진, 2030암예방검진, 실버암예방검진에 △서울대병원은 기본프로그램, 암정밀검진에 갑상선초음파 검사를 포함시켰다.
이 교수는 “국립암센터와 서울대병원 검진센터 상품이 이러니 민간기관에서 하는 것을 어떻게 비판하겠냐”고 지적했다.
포럼에 참석한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검진상품이) 국립암센터 초기에 만들어졌지만 실제 시행되지 않았다”며 “갑상선초음파는 원장 취임 이후 없앴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