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가운데)이 지난 9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학술대회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오른쪽은 의학회 도경현 홍보이사.
대한의학회 “정부 예산 출연 ‘전공의 수련교육원’ 제안”
“전공의는 우리 의료의 미래…국가가 책임지는 수련 인프라 필요”
[현대건강신문] 대한의학회가 전공의 수련의 질 향상을 위한 상설 교육 기구인 ‘전공의 수련교육원’ 설립을 공식 제안했다.
박용범 대한의학회 수련교육이사(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지난 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에서 “전공의는 우리 의료의 미래”라며 “국민 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핵심 후속 세대인 전공의들이 양질의 수련을 받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수련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는 “전공의 수련교육원은 교육과정 개발, 수련 중 평가, 지도전문의 역량 개발, 수련기관 평가 및 인증, 연수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이미 TF를 중심으로 준비해온 내용을 바탕으로 이번에 구체적인 설계를 제시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특히 수련 중 평가와 지도전문의 제도의 정착, 수련기관 간 교육의 질 편차 해소 등이 주요 과제로 꼽혔다. 박 이사는 “전공의 수가 적은 병원은 수련의 질 관리가 어렵고, 지도전문의도 역할에 대한 명확한 기준 없이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원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실기 교육, 워크숍 등을 주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서는 수련교육원 설립 방식과 정부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한 참석자는 “기존 수련평가위원회나 대한병원협회와의 관계, 그리고 교육원이 대한의학회 산하 조직인지 독립기구인지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이사는 “미국의 ACGME(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나 영국의 GMC(General Medical Council, 의사면허관리기구)처럼 전문화된 상설 기구가 우리나라에는 아직 없다”며 “초기에는 의학회 산하로 시작하되, 장기적으로는 독립적인 수련교육기관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단순한 학회 차원의 제안이 아니라, 정부가 제도적·재정적 책임을 함께 나누자는 의미에서 복지부에 제안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의학회는 수련교육원 설립을 위한 재원은 정부에서 출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대한의학과 관계자들은 이번 논의가 수련환경의 질적 전환을 위한 첫걸음이라는 점에 공감하면서도, 향후 정부와의 협의 및 병원계와의 이해 조율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
박 이사는 끝으로 “수련교육원은 단순히 평가나 인증을 넘어 수련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현장의 표준화, 실질적인 피드백 체계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며 “향후 정부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이 더해진다면, 한국형 ACGME로서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