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여야 의원들 수차례 걸쳐 ‘대국민 사과’ 촉구에도
한국맥도날드 조주연 대표 "검찰 조사 중이라 이해해달라"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용혈성요독증후군(HUS)으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맥도날드의 햄버거 패티가 판매적합 검사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들에게 전량 판매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3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는 일명 ‘햄버거병’으로 알려진 용혈성요독증후군 발병 사례와 관련해 증인으로 참석한 조주연 한국맥도날드 대표이사에게 책임을 추궁했다.
먼저 남인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조 대표는 대장균 3차 검출 시 전량 폐기했다고 답변했는데, 33%만 회수되고 나머지는 소비됐다”며 “햄버거병과 관련해 국민에 공식적으로 사과할 의향이 있나”고 질문했다.
이에 대해 조주연 맥도날드 대표는 “소비자원의 검사결과를 신뢰하려면 검사 과정 절차를 지켜야 하는데 절차가 제대로 안 지켜졌다는 것이 명백히 드러나 결과에 대해 수긍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조 대표는 자사의 제품과 햄버거병 발병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았다며, 장출혈성대장균이 검출된 햄버거 패티 제품에 대한 책임은 납품업체인 ‘맥키코리아’에 있다고 답변했다.
성일종 의원(자유한국당)은 “문제 있는 패티가 총 4,583박스 62.3톤이 유통되었고 그나마 회수·폐기된 물량은 7톤으로 11%에 불과한데, 어떻게 책임질 거냐”며 “인과관계가 없다고 하는데, 이는 맥도날드가 스스로 밝혀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이와 관련해서 조 대표는 “관련법에 의하면 회수 및 처리의 책임은 패티를 공급하는 업체인 맥키코리에 있다”고 “문제가 있는 제품은 전량 폐기하고 생산된 물량을 회수 처리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간 맥도날드 계열사인 맥키코리아측은 63톤의 대장균 패티를 전국 400여개 매장에 먼저 유통시킨 후, 사후에 부적합 내용을 보고해 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조주연 대표의 이 같은 답변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 햄버거병이 맥키코리아 책임이라고 하는데, 소비자는 맥도날드에 가서 햄버거를 먹지, 맥키코리아에 가지 않는다”고 비꼬았다.
아울러 “그동안 맥도날드측은 대장균이 검출된 패티를 판매해 왔다는 말은 한 번도 하지 않은 채, 기계로 조리하기 때문에 덜 익힌 패티가 나올 수 없다는 입장만 고수했다”며 “맥키는 맥도날드의 계열사인데 몰랐다는 주장은 책임회피에 불과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감 사회를 맡은 양승조 위원장은 조주연 맥도날드 대표에게 “법적 문제를 떠나 기업이 존재하는 사회적 의미가 있음에도 맥도날드 조 대표는 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며 “다시 묻는데 사과할 생각이 있냐”고 했고 조 대표는 “사건이 진행 중이라 이해해달라”고 결국 사과를 거부했다.
수능 도시락, 원활한 뇌세포 활동 도움 주려면? (0) | 2017.11.22 |
---|---|
수능 도시락, 평소 잘 먹던 음식으로 준비해야 (0) | 2017.11.15 |
유명 프렌차이즈 패스트푸드점, 식품위생법 400여건 위반 (0) | 2017.09.28 |
여름 휴가철 한강서 100가지 맛의 향연 펼쳐져 (0) | 2017.07.31 |
생활의 달인, 건강한 식빵...떡메반죽 식빵의 달인 (0) |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