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스파탐 논란 일단락, 식품·막걸리 업계 “대체 감미료 검토 중”

카테고리 없음

by 현대건강신문 2023. 7. 14. 17:43

본문

 

  • 국제암연구소 발암유발 가능성 제기에 음료·과자 등에 스테비아 등 대체 검토
  • 막걸리협회 "감미료 사용량 적어 대체에 따른 수급․가격 문제 크지 않을 것"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최근 발암 가능성 논란이 일었던 아스파탐에 대해 국제식량농업기구/세계보건기구 합동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가 현재 섭취 수준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발표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도 현행 사용 기준을 유지하기로해 식품업계도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세계보건기구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의 발암가능성을 제기했으며, 그 동안 국제암연구소(IARC)와 JECFA는 아스파탐의 안전성에 대해 각각 평가해왔다.

평가 결과, JECFA는 이전에 설정된 1일섭취허용량(40mg/kg.bw/day)을 유지하고 현재의 섭취 수준에서 안전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IARC는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 분류의 2B군(인체 발암가능 물질)으로 분류했다.

설탕을 대체하는 인공감미료 중에서도 아스파탐은 음료나 주류 등에 많이 사용돼 왔다. 특히 최근 '제로 칼로리' 열풍에 힘입어 인공감미료를 첨가한 각종 제품들이 쏟아져 나왔다. 이런 가운데 아스파탐의 발암가능물질 논란에 식음료 업계의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일단은 식약처가 현행 사용 기준을 유지하기로 하면서 일단락 되는 모양새지만, 식품․막걸리업계에서는 대부분 다른 감미료로 대체를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에 따르면 식품․막걸리업계에서는 IARC의 발암유발 가능성 제기에 따른 소비자 우려를 감안해 대부분 아스파탐 대체를 검토하고 있었다.

음료·과자 등에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일부 식품업계는 대부분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 중이며, 큰 어려움은 없다는 입장이다.

막걸리 업계 또한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 중이다.

막걸리협회에서는 "감미료 사용량은 전체 용량의 약 0.01%에 불과하다"며 "대체에 따른 수급․가격 문제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업계에 따르면, 주요 감미료 당도(설탕 대비) 및 가격(1kg)은 아스파탐 200배, 4.7만원, 수크랄로스 600배, 4.9만원, 아세설팜칼륨 200배, 2.1만원, 스테비아 300배, 4.6만원 등으로 대체감미료의 당도·단가 고려시 원가는 오히려 하락한다.

다만, 감미료 대체에 따른 맛의 변화 연구와 품목제조변경 신고, 라벨 교체 등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