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방사능검사 위변조 일본산 폐기물 수입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 엄마와 함께 참석한 어린이가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환경·여성단체, 방사능 검사 위변조 일본산 폐기물 수입 중단 촉구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1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방사능검사 위변조 일본산 폐기물 수입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 엄마와 함께 참석한 어린이가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기자회견에서 김혜정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운영위원장은 "우리나라는 국내에서도 충분히 공급 가능한 시멘트 자재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본으로부터 하수 슬러지 등 각종 폐기물을 수입하고 있다"며 "아파트와 신축건물 건설자재로 사용되는 일본산 폐기물 방사능검사 위변조하는 국내 시멘트업체와 책임을 방기한 환경부는 일본산 수입중단하고 국내산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방사능폐기물 기준치를 kg당 8,000베크렐로 하여 기준치 이하일 경우 방사능 검사 없이 일반폐기물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쏟아져 나오는 방사능오염폐기물을 처리하기위해 kg당 10만 베크렐 이하의 쓰레기는 소각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2월 도쿄도가 발표한 도내 하수 처리장의 하수 슬러지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 세슘 검출 데이터에 따르면 카사이 물재생센터 하수슬러지 소각재에서 1,430베크렐/kg의 세슘이 검출된 것을 비롯하여 도쿄도내 10여개의 슬러지 공장에서 수십에서 수백베크렐에 이르는 세슘이 검출되었다.
최근에는 도쿄 미타카시의 진공청소기 먼지에서 세슘137이 25베크렐/kg이 검출되는 등 일본내 폐기물로 처리되는 슬러지나 소각재, 쓰레기의 방사능오염이 심각한 상황이다.
환경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워회 장하나 의원실에 제출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폐기물 수입현황에 따르면 작년 한해동안 유역·지방환경청에 수입 신고된 폐기물 중 일본산 폐기물이 전체 수입량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국내 시멘트 제조업체가 일본에서 수입해 쓴 석탄재 폐기물은 597만t에 육박했다.
특히 장하나 의원실이 후쿠시마 사고 이후 각 유역·지방환경청에 제출된 방사능 비오염증명서 전체를 확인한 결과, 수입업체들이 제출한 증명서 중 50여 건의 증명서가 위변조되거나 조작한 것이 드러났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장하나 의원은 "국민 건강을 보호해야하는 환경부 등 국가기관들은 여태 이러한 사실을 몰랐다는 것은 직무유기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최경숙 차일드세이브 대표는 "아파트와 각종 건축물의 자재로 활용되는 일본산 폐기물이 수입되면서 아파트 거주 시민들의 방사능 오염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며 "국민들이 언제까지 방사능 공포에 시달리며 살아야 하는지 정부는 각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2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