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와 ‘수출 코드’ 맞춘 의료기기협동조합 “규제 개선도 필요”
의료기기협동조합 이재화 이사장 “수출 전망 어둡고 원자재 비용 상승, 국가 지원 절실”
“치료재료 재평가 결정 업계 영향 커, 심평원과 소통 이어갈 것”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의료기기조합)이 윤석열 정부의 ‘의료기기 수출 총력’ 정책에 발맞춰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기기조합 이재화 이사장(DSM헬스케어 대표)은 17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들과 만나 새해 계획을 소개하며 △수출 확대 △규제 개선 △교육 확대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수출 확대’는 윤석열 정부의 ‘바이오헬스 육성 수출 총력 지원’ 정책과도 맞닿아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난 9일 대통령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에서 “2027년까지 블로버스터급 신약 2개 개발, 의료기기 수출 세계5회를 목표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하고 수출을 전략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미국, EU 소속 국가들이 주요 원자재, 소재·부품·장비 수출을 제한하고 일자리와 자국 내 산업발전 등을 이유로 자국 생산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상황 변화로 우리나라 의료기기 기업들의 수출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재화 이사장은 “이런 어려움 속에서 의료기기 산업이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힘을 잃지 않기 위해선 국가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 부처 수출 전략 회의에 참여해 의료기기 기업들을 위한 정책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기기조합 조남권 전무이사도 “우리나라 산업은 수출 중심 구조로 의료기기 기업들의 매출 비중에서 수출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며 “회원사들이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과 전문적인 교육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기기 분야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재화 이사장은 “치료재료재평가 등 보험수가와 관련해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결정은 업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며, 기업이 사업을 지속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며 “심평원과 지속적인 네트워킹을 통해 업계의 현실을 전달하고 상호 간의 견해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밖에 의료기기조합은 △업계 의견 반영한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 개선 △신의료기술평가 관련 ‘선진입 후평가’ 대상 확대 △임상 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법적 윤리적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