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직장인들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은 직장 상사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직장 상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사보다 크고 배우자와 비슷했다.
13일 미국의 인사관리 솔루션 업체인 UGK의 인적자원연구소는 최근 10개국 직장인 3,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직장인의 60%는 자신의 직업이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특히 직장 상사의 경우 배우자(69%)만큼 사람들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의사(51%) 또는 치료사(41%)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은 상사가 더 많은 일을 하기를 원할 때 피곤하고 스트레스를 받으며, 업무가 끝나면 43%는 자주 또는 항상 지치고, 78%는 스트레스가 업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또, 직장인들은 업무가 가정생활(71%), 웰빙(64%), 관계(62%)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는 개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정신 건강이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이라고 답한 사람들의 경우 일과 삶의 균형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또한 직장인 3명 중 1명은 직장 상사가 직원들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10명 중 7명은 회사와 직장상사가 정신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직장인 81%는 고임금 직업보다 좋은 정신 건강을 우선시 할 것이며, 64%는 임금이 줄어들더라도 정신 건강을 더 잘 지원하는 직업을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UKG 인력 연구소 전무 이사인 자릭 콘래드(Jarik Conrad) 박사는 "글로벌 위기를 연이어 겪으면서 오는 만성적인 불안감이 직장인들에게 가해지고 있다"며 "정신적 압력은 사람들의 에너지를 소비하고, 성과, 혁신 및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용주는 직원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한 지원과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의 이직을 줄일 수 있다"며 "이번 설문 조사는 많은 사람들이 침묵 속에서 고통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영자들은 피하려고만 하지 말고 직원들의 정신 건강을 토론 주제로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