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옛말에 ‘약식동원(藥食同源)’이라는 말이 있다. 음식과 약은 그 근원이 같다라는 말이다. 특히 제철에 나온 싱싱한 식재료로 만든 음식은 그야말로 보약이나 다름없다.
해양수산부는 겨울철에 더 맛있는 2월 이달의 수산물로 꼬막, 대게, 홍게를 선정했다.
쫄깃한 식감이 매력적인 꼬막은 추운 겨울이 제철로, 자산어보에는 ‘살이 노랗고 맛이 달다’라고 그 맛이 표현되어 있다.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꼬막은 살짝 데쳐 양념을 얹어 먹거나 채소와 초고추장과 함께 비벼 먹으면 새콤달콤한 맛과 쫄깃함이 입맛을 돋운다.
특히, 꼬막은 임금님의 수라상에 오르던 귀한 음식으로 조개류 중 드물게 철분을 함유한 붉은색의 헤모글로빈 혈색소를 가지고 있다.
꼬막 100g에는 철분 6.8mg이 들어있는데 이는 일일 권장량의 57%에 달하는 수준이다. 적혈구를 생성하는 비타민B12도 풍부해 빈혈 완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임산부나 생리 중인 여성에 특히 좋다. 또한 타우린과 베타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며 숙취해소에도 효과적이다.
꼬막을 조리할 때 삶기보다는 데치는 것에 가깝게 익혀야 한다. 너무 오래 익히면 영양성분이 빠져버리고 살이 질겨질 수 있다.
칼슘과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대게와 홍게는 겨울철에 살이 꽉 차고 맛이 좋아 동해안을 대표하는 겨울철 특산물로 유명하다.
1월에서 3월 사이에 가장 맛이 좋은 대게는 다리가 마치 대나무 마디처럼 되어 있다고 해 이름이 붙여졌다.
대게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칼슘이 풍부해 어린이의 성장발육과 어르신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으며, 함황아미노산과 아르기닌이 풍부해 간 기능 개선 및 면역력 향상에 좋다.
홍게는 동해안의 효자같은 존재로 단백질과 리신,로이신, 메티오닌 등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고, 지방함량이 적어 맛이 담백하고 소화도 잘 되어 회복기 환자에게도 좋다. 또한 갑각류 중 키토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다.
대게와 홍게는 주로 통째로 쪄서 먹는데, 게가 움직이면서 다리가 떨어지거나 게장이 쏟아질 수 있으므로 조리 전 게를 얼음물에 잠시 담근 후 찌는 것이 좋다. 또한 짬뽕이나 라면에 넣으면 매콤한 국물에 특유의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더해져 풍미가 한층 좋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