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870) N
    • 맛집 (2217)
    • 요리 (368)
    • 건강식품 (350)
    • 식품 안전 경보 (65)
    • 건강 경보 (927)
    • 국내 여행 (100)
    • 세계 여행 (40)
    • 건강강좌_행사 (143)
    • 고혈압_당뇨_비만 (203)
    • 암 (198)
    • 건강 (839)
    • 병원_의원 (575)
    • 약_건강 (436)
    • 환경_건강 (1363)
    • 정책_건강 (1046)
    • 운동 (129)
    • 웰빙소비 (372)
홈태그미디어로그위치로그방명록
  • 맛집 2217
  • 요리 368
  • 건강식품 350
  • 식품 안전 경보 65
  • 건강 경보 927
  • 국내 여행 100
  • 세계 여행 40
  • 건강강좌_행사 143
  • 고혈압_당뇨_비만 203
  • 암 198
  • 건강 839
  • 병원_의원 575
  • 약_건강 436
  • 환경_건강 1363
  • 정책_건강 1046
  • 운동 129
  • 웰빙소비 37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알코올중독

  • 알코올중독의 악순환..."조절 힘들고 단주만이 살 길"

    2015.01.20 by 현대건강신문

  • 알코올 중독·치매 등 알코올성 정신장애 증가

    2014.12.29 by 현대건강신문

알코올중독의 악순환..."조절 힘들고 단주만이 살 길"

알코올중독자, 중독 사실 부인하는 경우 많아 건보공단 일산병원 이병욱 소장 인터뷰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술을 끊을 수는 없으니 조절할 수 있게 해달라구요? 5년 단주한 사람도 다시 술 입에 댔다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병욱 소장은 알코올 중독 치료는 무조건 술을 끊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한 ‘주폭(酒暴) 뿐만 아니라 알코올 중독은 개인이나 가정,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미 중독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알코올 중독이라고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알코올 치료센터 이병욱 소장을 만나, 알코올 중독의 문제점과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 2015. 1. 20. 17:59

알코올 중독·치매 등 알코올성 정신장애 증가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알코올 중독 이외에도 기억장애, 섬망, 치매 등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 남성 환자들은 소폭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19세 이하 청소년층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알코올성 정신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6만 3,821명에서 2013년 7만 5,925명으로 1만2,104명이 늘어 연평균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2008년 212명에서 2013년 244명으로, 여성은 2008년 52명 에서 2013년 58..

웰빙소비 2014. 12. 29. 11: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250x250

페이징

이전
1
다음
Hnews.kr
푸터 로고 © Hnewsk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