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2014년 미 정부 담배 보고서’ 1만 6천부 배포
[현대건강신문] 간접흡연에 노출된 성인의 경우 ‘뇌졸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연으로 야기되는 암에 간암과 결직장암이 새롭게 추가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미국의 ‘테리 보고서’ 발행 이후 50주년을 맞아 2014년에 발행한 현 미국 공중보건국장 명의의 새 보고서 요약본을 번역 해 1만 6천여 부를 국회, 시도교육청, 지자체, 전국 초중고 등에 배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는 흡연으로 야기되는 암과 만성질환에서 10개 질환과 간접노출에 의한 성인의 뇌졸중이 새롭게 발견되어 추가됐다.
새롭게 발견된 암은 간암, 결직장암이며, 만성질환은 당뇨, 결핵, 노인성 황반변성증, 남성 성기능(발기부전), 자궁 외 임신, 모성흡연으로 인한 선천적 결함(구강안면 파열), 류마티스 관절염, 면역기능 등이다.
책자는 지난 50년간 흡연과 간접흡연으로 인한 조기사망이 흡연관련 암 658만명, 심혈관 및 대사성질환 778만명, 폐질환 380만 등 총 2천만 83만명이라고 밝히며, 흡연자들은 수명이 10년 단축된다고 볼 수 있다.
40세 이후 금연 시 90% 정도의 생명단축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60세 정도에 금연을 시작해도 40% 정도의 수명단축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미국에서 흡연으로 발생하는 연간 비용은 2,890억~3,330억 달러이며, 흡연이나 간접흡연 노출에 따른 조기 사망 추정치는 올해 50만명으로 예상된다고 적시했다.
이 책자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도움으로 미국 공중보건국의 저작권 사용허가를 받았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가 감수하였다.
책자에는 간접흡연 방지, 담배성분공개, 금연교육, 담배제품 불법거래방지, 미성년자 담배판매금지 등 담배규제를 위한 모든 측면을 다루고 있는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바로알기’를 부록으로 탑재하여 국내외 금연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한편, 책자는 지난 9월 12일 담배소송 1차 변론시 재판부 및 담배회사에 소송의 증거자료로도 제출되었다.
건보공단 김종대 이사장은 발간사에서 “본 보고서의 발간으로 담배의 폐해에 대한 확증된 연구 결과와 미국 정부의 다양하고 지속적인 노력을 교훈 삼아 국가적으로 금연캠페인이 확산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4617
유방암 발병율 높은 치밀유방, 한국인에서 많아 (0) | 2014.10.17 |
---|---|
한국인 유방암 발생률 일본 넘어, 동아시아 최고 (0) | 2014.10.17 |
구멍 하나로 위암 수술..."수술 후 염증·출혈 적어" (0) | 2014.09.29 |
복부 근처 '러브핸들' 잡히면 앙돼요...대장암 캠페인...대한대장항문학회 (0) | 2014.09.15 |
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혼란스런 갑상선암 수술...외과전문의들 '치료권고안' 낸다 (0) | 201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