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기상과학원 "폭염사망자 중 75세 이상 55% 넘을 것"
장하나 의원 "민감계층에 대한 보호방안 마련해야"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장하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기상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한미공동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 추세로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될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서울시 사망률의 급격한 변화가 우려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상청 소속 국립기상과학원이 실시한 한미공동연구는 폭염의 건강영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고온건강지수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의 폭염영향을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 없이 현재 추세로 계속 배출되는 경우(RCP 8.5)와 2020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이 저감되는 경우(RCP 2.6)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설정했는데, RCP 2.6 시나리오에서는 2051년부터 2060년까지 폭염 사망률이 정점을 이루다가 이후 감소 또는 유지할 것이라고 보았다.
반면 온실가스 감축에 실패하는 경우인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2100년까지 매우 급격히 상승하여 현재의 5배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온실가스 감축여부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에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1994년 여름은 비정상적인 여름으로 평가되는 해로서, 보고서에 따르면 한 해동안 서울에서만 1,056명의 온열질환 사망자가 발생했다.
연구는 현 추세로 온실가스를 계속해서 배출할 시, 2080년대의 여름은 1994년 여름 발생값의 근사치에 달하는 사망률을 보일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또한 연구에서는 서울의 인구추계자료를 적용할 때 고령화의 정도가 고려되면서 2030년대에는 현재보다 온열질환 사망자 수가 두 배 이상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특히 온열질환 사망자 중 7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현재 27%인데, 2030년대에는 무려 66% 이상을 차지하여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같은 전망은 서울을 비롯한 도시의 공공보건정책이 고령자가 폭염에 절대적으로 민감하다는 점에 대해 대비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생적으로 또는 정책적으로 기후에 적응하는 경우 동 연구가 전망하고 있는 잠재적 위기는 피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폭염으로 인한 사망률의 연례 변동이 매우 크고,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1994년과 같은 급격한 변화가 서울에서도 1, 2년 내에 재현될 수 있음을 정부와 지자체가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하나 의원은 “정부는 기후변화가 더 이상 먼 미래의 재난이 아니라 지금 우리 국민 생존의 문제가 됐음을 인정하고, 전력수요 부풀리기를 통한 2030년 BAU 대비 37%라는 부끄러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며 “기후변화로 인한 사망률 영향 평가를 전국으로 확대 실시하고, 고령자, 영유아, 만성질환자 등 민감계층에 대한 보호방안과 실질적인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포함한 ‘국가기후재난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1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