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여름철 온열질환자 절반 평상시에 발생
인천 온열질환자 중 70%가 평상시에 발생해 전국 1위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열사병, 일사병 등의 온열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상청의 폭염특보 발령 이전에 이미 발생한 온열질환자가 전체 환자의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민현주 의원(새누리당)이 기상청 및 질병관리본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 8월 5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 3,877명을 분석한 결과 폭염특보 발령 전 평상시에 발생한 온열질환자가 1,820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폭염특보는 △일 최고기온이 33℃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되는 폭염주의보 △일 최고기온이 35℃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되는 폭염경보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을수록 온열질환자 발생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을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 온열질환자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폭염주의보일 때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1,662명으로 42.9%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폭염경보 시에는 395명으로 10.2%에 불과하였다.
지역별로는 인천시가 최근 5년간 전체 온열질환자 109명 중 77명이 폭염특보 발령시가 아닌 평상시에 발생하여 전국 1위를 기록하였으며, 그 뒤로 대전(59.1%), 전남(55.4%), 충남(51.0%)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지자체 별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은 온열질환은 단순히 고온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닌 사회적·개인적 특성과 근로시간 및 유형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게 발생한다는 점, 지역별로 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능력 및 상황에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민현주 의원은 “이미 미국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폭염 등으로 인한 온열질환을 ‘침묵의 살인자’라고 부르면서 특히 어린이·고령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하고 대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현재 우리나라 기상청의 폭염특보는 기온만을 기준으로 발령하는데, 질병관리본부는 온열질환은 개인적 상황 및 환경조건에 따라서도 상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의원은 “기상청은 기온뿐만 아니라 습도, 일사 등 더위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맞춤형 지수 개발은 물론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맞는 더위 기준값(Threshold Value)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각 지자체별로 폭염 등 기후변화 대응 능력이 상이함을 감안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1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