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 미국의 건강 전문지 ‘헬스’(Health)가 설탕 등 당류의 과다 섭취가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 8가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설탕을 먹을 때 당신 몸에서 일어나는 일’(This Is What Happens to Your Body When You Eat Sugar)이란 제목의 22일자 기사를 통해서다.
설탕 등 당류의 첫 번째 해악은 두뇌활동 방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 베니오프 어린이병원 소아 내분비학자 로버트 루스틱 박사는 “동물실험에서 당류의 일종인 과당(특히 HFCS)은 배우고 기억하는 능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두 번째로 더 많이 먹도록 한다. 단순당의 일종인 과당은 뇌의 식욕 중추를 자극해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한다. 설령 쿠키를 많이 먹어도 식탐을 억제하진 못하는 것은 그래서다.
세 번째는 피부 노화 촉진이다. 설탕 등 당류를 과다 섭취하면 피부를 윤택하게 보이도록 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방해한다.
설탕이 많이 든 식사를 지속적으로 하면 피부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남보다 일찍 주름이 생긴다는 것이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전문가는 매일 2∼4회 천연 설탕을 먹는 것은 괜찮다고 본다.
네 번째로 과잉의 설탕은 지방으로 저장된다. 다이어트 중이라면 아침에 모닝커피를 마실 때 설탕을 추가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루스틱 박사는 “사람의 간은 설탕 등 당류를 분해해 칼로리로 바꾸지만 그 양은 그리 많지 않다”며 “분해되지 않은 다량의 과당은 간에서 지방으로 변환돼 비만ㆍ2형(성인형) 당뇨병ㆍ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인다”고 충고했다.
다섯 번째로 몸속의 세포에 상당한 대가를 지불하게 한다.
루스틱 박사는 “과당은 세포의 산화 과정(활성산소 생성)을 촉진한다”며 “그 결과 단백질ㆍ조직ㆍ장기가 손상될 수 있으며 간 질환ㆍ신부전ㆍ백내장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여섯 번째로 단맛 중독을 유발한다.
설탕 등 당류를 섭취하면 우리가 무언가를 더 좋아하고 더 원하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많이 생성된다.
나중엔 도파민에 대한 내성이 생겨 더 많은 도파민과 설탕을 찾게 되는 중독이 발생한다. 설탕이 뇌의 쾌락 중추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일곱 번째로 스트레스를 부른다.
과자 등 단맛식품이 일시적으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혈중 농도를 낮춰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단 음식 끌리는 것은 설탕이 스트레스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제된 탄수화물을 지속적으로 과다 섭취하면 몸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는 것이다.
루스틱 박사는 “운동이 최선의 스트레스 대처법”이며 “운동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코티솔 분비가 감소한다”고 말했다.
알은 작지만 항산화 성분 2배...야생블루베리 (0) | 2017.04.03 |
---|---|
한국인 비타민D 결핍 문제 심각...혈중 농도 최저는 20대 여성 (0) | 2017.03.29 |
해외직구 식품 주의보...유해물질 검출 (0) | 2017.03.25 |
“요양원 생활 노인 영양실조로 병원 온다” (0) | 2017.03.16 |
과일 채소 많이 먹으면 무릎관절 통증 줄어 (0) | 2017.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