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제공행위로 적발된 11개 제약사 340개 약제의 약가가 인하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3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불법 리베이트 제공행위로 적발된 약제에 대한 가격을 평균 8.38% 인하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처분은 2009년 8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서울중앙지검 등에서 적발 및 기소 이후 법원 판결 확정 및 검찰 수사 세부 자료 등을 추가로 확보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리베이트 위반 약제가 국민건강보험 약제급여목록에서 삭제된 후 동일 성분으로 재등재 또는 양도·양수로 타 제약사에서 재등재한 8개 제약사 11개 약제에 대해서도 약가 인하처분을 했다.
이는 약가인하 처분대상 약제를 약제급여목록에서 삭제한 다음 일정기간 경과 후 동일 성분의 약제를 자사 또는 타사 양도․양수 등을 통해 재등재하여 약가인하 처분을 피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복지부는 11개 제약사 340개 품목이 인하될 경우 평균 8.38%, 연간 약 170억원의 약제비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불법 리베이트에 대하여 수수자와 제공자 모두를 강력히 제재하는 등 단호히 대응하겠다”며 “유관 기관과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등 리베이트 관련 제재수단의 실효성 제고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전 복지부장관 유시민 썰전서 “의협 최대집, 문재인 케어 못 막아” (0) | 2018.04.06 |
---|---|
국민소득 3만불 눈앞...국민들 상대적 박탈감 시달려 (0) | 2018.03.29 |
이정미 의원 무한도전서 약속한 ‘알바인권법’ 국회 환노위 법안소위서 통과 (0) | 2018.03.16 |
“턱 없이 부족한 공공의료, 문재인 케어 큰 걸림돌” 공공보건의료공단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 '일석이조' (0) | 2018.03.15 |
복지부가 생각하는 공공의료 정상화 ‘의료인 교육부터’ ...공공의료과 손일룡 과장 (0) | 2018.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