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2017년 비만질환 진료현황.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동근 의원실)
김민정 회장은 “비민 치료는 식사·운동 교정이 들어간 인지행동치료가 기본이 돼야 한다”며 “이런 치료 이후에도 변화가 없으면 약물치료에 들어가야 하지만 30분씩 걸리는 인지행동치료를 하는 게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식사 운동 조절 기본인데, 인지행동치료 비급여로 약물치료 치중
비만의사연구회 김민정 회장 “30분씩 걸리는 인지행동 치료도 급여화 필요”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비만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비만 치료를 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급여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는 비만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오는 11월부터 고도비만환자를 대상으로 비만수술시 본인 부담금을 대폭 낮추는 건강보험 급여화 정책을 실시한다.
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고도비만 환자뿐만 아니라 초기 비만 환자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 다양한 비만 치료의 급여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비만의사연구회 김민정 회장은 지난 4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식사·운동 습관을 바꿀 수 있는 인지행동치료의 건강보험 급여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민정 회장은 “비민 치료는 식사·운동 교정이 들어간 인지행동치료가 기본이 돼야 한다”며 “이런 치료 이후에도 변화가 없으면 약물치료에 들어가야 하지만 30분씩 걸리는 인지행동치료를 하는 게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비만 치료제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화가 이뤄지면서 진료 현장에서는 비만 치료를 위한 약물요법이 손쉽게 이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건강보험 비급여인 인지행동치료는 소홀해지고 있다.
비만의사연구회는 비만 환자와 진료비가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고도 비만으로 악화되는 환자를 줄이기 위해서 ‘인지행동치료의 급여화’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국정감사에서도 비만 환자와 진료비 증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2013~2017년 비만 질환 진료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5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하면 비만으로 진료 받은 환자 수는 줄어든 반면 진료비와 자기부담금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남성 비만환자가 늘어나고, 진료비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남성 환자는 2013년 2,161명에서 2017년 2,709명으로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여성 환자가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신 의원은 “이번 분석에서 비만치료를 위한 환자 자기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만 환자가 비용 걱정없이 신속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비만의사연구회 안상준 정책이사는 “성인 남성 중 비만 환자가 증가하는데 주목하고 있다”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BMI(체질량지수) 30 이상을 비만으로 보고 있지만 아시아권인 우리나라의 경우 BMI 25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 등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비만 연구 석학 ”치료제 개발 보다 지역 환경 변화 중요” (0) | 2018.11.29 |
---|---|
뚱뚱한 여성일수록, 퇴행성 요추 질환 가능성 높아져 (0) | 2018.11.23 |
쌀쌀해진 날씨, 흡연자 ‘급성심근경색 주의보' (0) | 2018.11.02 |
국내 의료진, 당뇨 치료 목적 돼지 췌도 이식 앞 둬...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밝혀 (0) | 2018.10.18 |
심뇌혈관질환 사망률 지역간 2배...정부예산 삭감으로 위험 높아져 ... 대한심장학회 경고 (0) | 2018.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