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 우리나라 여성들은 올바른 피임법, 가족계획, 각종 월경 질환 등과 관련해 산부인과 전문의에게서 얻는 정보를 가장 신뢰하는 반면, 사회 시선 등을 의식해 정작 산부인과 방문은 꺼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산부인과학회가 지난해 15~45세 여성 1,5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5명(53%)이 전문의로부터 얻는 정보를 가장 신뢰한다고 응답한 반면, 18%는 ‘부끄러워서’ 산부인과를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고 11%는 산부인과에 갈 필요가 없다고 답변했다. 그런데 산부인과는 여성이 일생 동안 가장 가까이해야 할 진료과다. 임신과 출산 외에 산부인과를 찾아야 할 이유는 많다. 안으로 숨은 여성 생식기, 세균 번식하기 쉬워 여성의 생식기는 남성처럼 밖으로 돌출되지 않고 안으로 들어가 있다. 습하고 따듯한 데다 한 달에 한 번씩 자궁에서 출혈이 있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구조다. 여성 생식기 질환이 진행된 뒤에도 거의 드러나지 않아 병이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방치하기 쉬운 것도 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생리 현상은 여성의 건강을 가늠할 수 있는 거울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건강증진의원 박정범원장은 “우리나라 여성의 40% 남짓이 생리통이나 생리 불순 등 생리 관련 질환 때문에 고통을 겪고 있는데, 대부분은 부끄럽다는 생각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생리통을 참기 일쑤다. 이럴 경우 자신도 모르게 자궁이나 골반에 병을 키울 수 있다. 또 대표적인 여성 질환인 질염이나 골반염, 자궁근종 등은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신경을 써야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임기부터 폐경기에 이르기까지 산부인과 검진은 필수 특히 가임기 여성이라면 더욱 산부인과와 친해야 한다. 20대이후에 겪을 수 있는 극심한 생리통이나 성교통, 요통은 자궁질환의 적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가볍게 생각하고 지나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20~30%, 35세이상 여성의 40~45%에서 볼 수 있는데, 눈에 띄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전체의 30~40%밖에 되지 않으므로 자칫하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기 십상이다. 여성 암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자궁경부암도 우리나라 여성의 주된 사망 원인임에 불구하고 검사조차 받아본 적이 없는 여성이 대부분이다. 이 같은 여성 질환을 키우지 않으려면 정기적으로 산부인과 문턱을 넘어야 한다. 무엇보다 결혼을 앞둔 예비신부라면 결혼 전 산부인과 검진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여성 자신의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한 아이를 출산하기 위해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체크해야 한다. 산부인과를 방문해 풍진 항체 검사, 혈액형, 자궁 및 난소 검진, B형 간염 검사, 간 기능 검사, 흉부 검사, 심전도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을 꼼꼼히 받는 게 좋다.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도 예외는 아니다. 50대로 접어들면 여성 호르몬이 감소해 폐경기로 들어가는데, 이때 호르몬요법을 접하면서 호르몬 환경 변화는 물론 질 벽이나 자궁내막의 위축 등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자궁내막암, 자궁내막 폴립, 자궁내막증, 자궁경부암, 자궁체암 등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해야 한다. 폐경이 되었다고 모든 자궁 관련 질환에서 해방되는 것도 아니다. 노화에 따른 암 발생률이 높아지기때문에 산부인과 검진을 빠뜨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임신 상관없이 6개월~1년마다 정기검진 박정범 원장은 "산부인과 검진은 초음파검사,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질염 검사 등이 기본"이라며 "여성이라면 결혼 여부나 나이와 상관없이 산부인과에 가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주기적으로 검사해야 여러 질환으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초경을 경험하면 처음에는 호르몬 변화가 불규칙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6개월 이내에 산부인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으며, 초경 이후에는 아무 증상이 없어도 최소한 6개월에 한 번은 산부인과를 찾아 간단한 검사로 자궁 건강을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치주질환 예방하는 '올바른 양치법' (0) | 2014.12.19 |
---|---|
[포토] 일상생활 복귀 위한 요양병원 '재활 싱크대'...강남구립 행복요양병원 (0) | 2014.12.17 |
겨울철 쉽게 터지는 ‘뇌동맥류’ (0) | 2014.12.16 |
잦은 송년회 술자리로 '갈라지는' 피부 (0) | 2014.12.15 |
송일국 진단받은 녹내장, 대표적 증상 '주변 흐릿하게' (0) | 201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