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월호 1주기..."유가족 안정 못하면 개인·공동체 파괴"

정책_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5. 4. 15. 17:54

본문






정부 시행령, 안산트라우마센터 5년 한정-보상시 치료 지원 못받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성명 "화합 위한 정부 적극적 노력도 중요"

[현대건강신문] 2014년 4월 16일 진도 팽목항 인근을 지나던 세월호가 침몰하면서 수학여행을 떠났던 수백여명의 학생들, 동창회 모임을 했던 노인 등 304명이 숨지거나 실종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세월호에 탑승했다 불의의 사고로 숨진 304명 중 295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9명은 실종 상태이다.

1주기를 앞둔 삭발을 한 채 유가족들은 지난 14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인양과 시행령 폐기'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정신건강전문의로 구성된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세월호 1주기를 맞아 성명을 내고 생존자와 유가족에게 좀 더 많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난이 발생한 후 1주기는 생존자와 유가족들에게는 고통이 배가되는 힘든 시기로 '기념일 반응'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심리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기념일 반응은 희생자의 기일, 명절, 생일 등 희생자를 연상하게 되는 시기에 평소보다 더 우울하고 슬퍼지는 반응이다.

전문의들은 이 시기에 다시 우울과 불안이 악화되거나 최악의 경우 스스로 죽음을 생각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성명을 통해 "1주기에는 재난의 피해자와 관련자는 물론 우리가 아끼는 주변 사람들에게 더욱 큰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며 "만일 기념일 반응이 심각하다면 주저하지 말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때로 정신건강 전문가를 만날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

1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안타깝게도 유가족들의 마음은 아직 일상과 현실로 돌아가지 못하고 상당수 유가족들은 광화문 광장에서 정부의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으로는 진실을 규명할 수 없다고 농성을 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시행령에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의 활동조차 5년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피해자가 보상을 받을 경우 치료는 중복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정신건강 전문의들은 "재난 후 스트레스반응은 시일이 한참 경과한 후에도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며 "재난에 대한 피해보상이 문제가 된다면 독립적이고 공정한 위원회를 통해 치료지속여부를 결정하고 있는 미국 등의 사례를 참고해 대응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안타깝게도 유가족들의 마음은 아직 일상과 현실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정상적인 애도의 과정을 밟을만한 사회적 분위기가 아직 조성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지적하며 "재난이 가져오는 최악의 결과는 개인과 공동체의 파괴로 신뢰와 배려로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865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