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연구원 노보영 연구원 “우리나라 생산자-소비자 코덱스 인식 미흡”
[현대건강신문] 소비자 건강 보호와 공정한 무역관행 확립을 위한 만들어진 코덱스(CODEX) 식품규격을 채택한 제품이 그렇지 않은 제품에 비해 더 높은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덱스 식품규격은 ▲식품과 관련된 규격 ▲실행규범 ▲지침 ▲기타 권고사항을 모아놓은 것이다. 코덱스 문서는 과학지식이 발달함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정 보완되고 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펴낸 ‘코덱스 이해하기’에 따르면 우유, 치즈, 요거트 같은 제품들은 농장에서부터 소비자의 손에 닿을 때까지 구체적인 코덱스 규격은 30가지가 넘고 제품의 제조와 무역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실행규범과 지침은 50가지가 넘는다.
‘코덱스 이해하기’에서는 “수출을 위한 제품이라면 그 제품은 소비자의 요구사항과 국제 규격 및 규정을 충족해야 한다”며 “소비자들이 우유를 맛보고 즐길 때 그 우유의 향, 맛 그리고 전체적인 사항을 알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을 계속 구매할지 결정한다”고 돼 있다.
수입 식품을 접한 소비자들이 코덱스 마크를 보고 제품을 구매하는 주요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는 말이다.
한국식품연구원(이하 한식연) 한규재 박사는 25일 서울 중림동 L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코덱스 규격화 신규품목 발굴 및 활성화 촉진 공청회’에서 “WTO(세계무역기구) 체제는 자유무역를 지양하고 있지만 각국은 기술 장벽을 세우고 싶어 하고 수출국은 허물고 싶어 한다”며 “이 체제 하에서도 식품 수출업체는 코덱스 기준 파악한 뒤 맞춰서 수출하고 소비자들은 이 기준을 확인해 안전한 식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표자로 나선 한식연 식품표준연구센터 노보영 연구원은 “각국이 식품에 있어서 코덱스 많이 활용하고 있다”며 "요즘에는 동남아 등 개도국들도 적극적으로 (코덱스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 연구원은 “코덱스 강제성 없지만 분쟁시 분쟁해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앞으로 자유무역체제 하에 코덱스는 선택 아니라 필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식품 수출에서 코덱스 마크가 판매 촉진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한 노 연구원은 농촌경제연구원의 설문 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일본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격이 1000엔인 한국산 김치의 경우 코덱스 규격을 채택하지 않은 제품의 가격을 845엔으로 평가했고 코덱스 인증제품은 1,003엔으로 평가했다.
코덱스 인증 이후 가격이 19%가 상승한 것이다. 이것은 일본은 12%에 비해 높고 중국의 33%보다 낮지만 중국 일반 김치의 평가액은 432엔으로 낮아 코덱스 식품 규격에 맞춘 한국 제품 가격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런 설문 결과가 있지만 국내에서 코덱스 식품규격에 대한 인식은 기업-소비자 모두 높지 않다.
노 연구원은 “약 70% 기업만이 코덱스를 인지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잘 몰랐다”며 “어떤 업체는 코덱스를 채택할 경우 추가 생산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전북대 신동화 교수는 “코덱스 마크를 달면 품질과 안전성을 포장해준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며 “소비자들이 코덱스의 제품 선택에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하면 기업들도 자연스럽게 코덱스 활용에 나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식품연 한규재 박사는 “코덱스 제품이 곧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해준다는 보증을 누가해줄지 고민스럽다”며 “정부, 업계, 학계가 모여 이 문제를 비롯해 코덱스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짜고 기름진 과식 유발음식, 비만 유발 (0) | 2016.12.06 |
---|---|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비상 (0) | 2016.12.01 |
쌀쌀해진 날씨 손발 시리면, 생강차로 따뜻하게 (0) | 2016.11.18 |
들풀 털진득찰의 키레놀 성분, 고혈압 예방효과 확인 (0) | 2016.11.15 |
샐러드에 계란 넣으면 비타민E 흡수율 최대 7배 증가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