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중재학회 김효수 이사장 밝혀 “수술보다 간단한 시술 선호, 고령화도 한 이유”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심근경색·협심증이 발생한 환자들에게 스텐트를 과잉으로 시술한다는 지적이 있는데 환자의 특성, 고령화 등을 무시한 판단이라고 보여진다”
대한심혈관중재학회 김효수 이사장(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은 지난 14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동계통합학술대회에서 이렇게 밝히며 “과잉 논란을 부를 수 있는 통계 발표는 환자와 의사 간의 신뢰 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심혈관중재학회는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등 스텐트를 이용한 심근경색, 협심증을 치료하는 전문의들이 모인 의학회로 이번 학술대회에서 1천여 명의 의사들이 참석했다.
2015년 보건복지부는 심장통합진료를 도입해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시술을 하는 심장내과 의료진과 관상동맥우회술(CABG)을 하는 흉부외과 의료진의 설명을 듣고 환자 어떤 시술을 할지 최종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려고 했지만 심장내과의 강한 반발에 부딪쳐 정책 도입을 포기했다.
이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선별집중심사를 통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PCI 시술을 관리하고자 노력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심평원은 지난해 18개 선별집중심사 항목을 발표했지만 이 중 유일하게 PCI 시술 행태는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PCI 시술건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흉부외과 쪽에서는 OECD의 평균 PCI 시술건수가 3.2대1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10대1을 넘어 과잉 진료 의혹이 있다고 여전히 문제 삼고 있다.
이에 대해 김효수 이사장은 ▲환자의 성향 ▲고령화로 인한 환자 증가 ▲스텐트 등 의료기기 발달 등을 PCI 시술 증가의 원인로 들며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진료를 하다보면 혈관이 막혔는데 수술(관상동맥우회술 CABG)을 할지, (PCI) 시술을 할지를 환자에게 물으면 대부분 스탠트를 사용한 시술을 선호한다”며 “장기적으로 보면 (CABG가) 갖는 장점도 있지만 환자들은 편리성을 중시 한다”고 말했다.
▲ PCI 재시술에 대해 김효수 이사장은 “노화로 인해 관동맥이 막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인데 (PCI) 재시술을 나쁘다고만 평가하는 것은 (혈관) 본래의 모습을 지키고자 하는 철학에 어긋난다”고 재차 강조했다.
심평원의 2014년 적정성평가 자료를 보면 PCI의 경우 재수술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CABG는 재수술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면 기존에 있던 관동맥이 다 막힐 수 있다”며 “관동맥을 통한 혈류를 유지하는 것이 인간 본래의 생리에 적당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PCI 재시술에 대해 김 이사장은 “노화로 인해 관동맥이 막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인데 (PCI) 재시술을 나쁘다고만 평가하는 것은 (혈관) 본래의 모습을 지키고자 하는 철학에 어긋난다”고 재차 강조했다.
최근 롱스텐트, 녹는 스텐트의 개발로 시술의 편의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힌 김 이사장은 “최근 롱스텐트가 나와 여러 개의 스텐트 대신 한 개 만 넣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최근 의료기기의 발달로 시술한 뒤 몇 년이 지나면 녹는 스텐트 사용도 활성화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이사장은 PCI 시술을 줄이기 위한 ‘예비 검사 도입’과 ‘인증제 확대’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미국에서는 관동맥성형술을 하기 전에 예비 테스트를 시행해 스텐트 시술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했다”며 “예비 테스트에 수가가 있어 미국 병원들도 선호하고 있지만 스텐트 시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심근경색·협심증 우려가 있는 환자가 병원을 내원할 경우 ▲운동부하 검사 ▲핵의학 검사 ▲관동맥 CT 촬영 등의 예비테스트를 거치지 않고 스텐트를 넣는 경우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 이사장은 “이런 예비 검사 없는 스텐트 시술을 줄이기 위한 보건당국과 의료계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150개에 달하는 심혈관중재시술센터에 대한 정도관리도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인 김 이사장은 “너무 많다보니 질 관리가 안 되는 곳이 있다”며 “이런 곳 일수록 과잉 진료의 가능성이 있어, 8년전부터 학회 차원에서 시작한 인증제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한 다이어트, 심장 건강 위협...과일 야채 많이 먹어야 (0) | 2017.02.06 |
---|---|
장기적 불면증, 혈압 안 떨어져 심장병 위험 8배 높아져 (0) | 2017.01.21 |
신년 ‘작심삼일’ 다이어트 족 위한 건강하고 똑똑한 음식 상식 (0) | 2017.01.06 |
한국인 질병부담 큰 질환...당뇨와 요통 (0) | 2016.12.26 |
비만의 역설인가, 저체중일수록 암 수술 후 사망률 높아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