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완치, 생존율 향상 도움”, 암전문의 “치료 효과 없어”
서울대·충북대·국립암센터 연구팀, 환자 700명, 전문의 134명 조사
[현대건강신문] 암환자와 전문의는 보완대체요법 효과에 대해 큰 인식 차이가 있어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상혁 신동욱, 충북대 예방의학과 박종혁 교수팀은 암환자 약 700명과 암전문의 134명으로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사용여부와 기대효과 등을 조사한 결과를 25일 밝혔다.
암환자 3명 중 1명 꼴인 약 28%가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했으며, 이들 중 약 70% 이상이 체력보강, 면역력 향상과 심리적 안정의 효과를 기대하고 사용했다.
또한, 절반 이상이 암의 완치는 물론 생존율을 높일 것이라 기대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 사용 후 기대했던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인원은 훨씬 적었다.
보완대체요법이란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학적 치료 외에 질병치료를 위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것들을 말한다.
△요가와 같은 운동요법 △채식과 같은 각종 식이요법 △건강보조 식품들 △한약 △침 △뜸 △부항 △수지침 △벌침 등의 대체요법처럼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요법.
반면, 암전문의는 통증 경감이나 체력보강, 면역력 향상 및 심리적 안정과 같은 지지요법으로서의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하고 있었으나 암환자들과는 대조적으로 암 완치 약 3.7%, 생존율 향상 약 6.7%에서만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 응답했다.
일반적으로 의료계에서는 다양한 보완대체요법이 통증 경감 등 지지요법 효과는 일부 근거가 있는 반면, 완치와 생존율 향상 등 치료적 효과는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암환자와 암전문의 간에 보완대체요법을 바라보는 시선에 차이가 있음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서울대병원 김상혁 교수는 “암환자는 뭔가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로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지만, 정작 암치료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전문의와는 관련된 상담을 안한다”며 “보완대체요법 사용에 대한 근거 중심의 가이드 및 의사, 환자 간 적극적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종혁 교수는 “인터넷이나 언론을 통해 쉽게 암치료를 위한 여러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암환자 및 보호자들의 희망을 악용하는 허위, 과장 광고가 대부분”이라고 지적하며 “보완대체요법의 부적절한 사용을 막고 근거에 기반한 효과적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언론과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대체의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대장내시경 받은 사람 대변검사 제외해 비용 절감“ (0) | 2016.09.26 |
---|---|
대장내시경 검사냐, 비싼 대장암 약값이냐? 고민해볼 때 (0) | 2016.09.05 |
국립암센터 원장 "생존력 강한 암, 정밀의학으로 맞춤치료" (0) | 2016.08.25 |
치료 후 삶의 질 떨어진 폐암 환자, 사망 위험 2배 높아 (0) | 2016.08.19 |
젊은 여성 대부분 난소 종양 양성, 폐경기 이후 남소암 많아 (0) | 2016.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