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학교 남학생, 양치질 실천율 최저

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5. 4. 2. 09:38

본문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치아의 소중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지만 학교에서의 점심을 먹고 양치질을 하는 학생은 10명 중 3명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현숙 의원(새누리당)이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4년도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교에서의 청소년 양치질 실천율은 중고등학교 학생 평균 38.4%로 나타났다.

중학교 학생의 경우 24.5%로, 고등학교 학생 평균 52.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학교에서의 구강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성별로 보면, 중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 평균 27.3%로, 여학생 평균 50.5%의 절반 수준에 그쳐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구강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학교 학생의 경우 평균 24.5%의 실천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남학생이 15.6%, 여학생이 34.3%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학생의 경우에도 남학생이 39%, 여학생이 66.7%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위생 및 예방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서울지역이 2014년도에 22.5%로 칫솔질 실천율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 내내 실천율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주가 28.5%, 경기도 35.6%, 대구 36%, 부산 36.8%, 인천 37.9%순으로 치솟질 실천율이 저조해 수도권 및 광역시 등 대도시 청소년들의 학교에서의 칫솔질이 실천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남이 60.4%로 실천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 54.6%, 전북 51.6%, 경남 50.2% 순으로 나타나 지방 청소년들의 칫솔질 실천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4년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에 따르면 중학교 1학년생의 구강질환 유병율이 치아우식증 28%, 치주질환 12.1%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1학년생도 각각 38.8%, 21.3%로 나타났고, 치주질환의 경우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해 청소년기 구강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현숙 의원은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처럼 구강건강의 경우 청소년기의 규칙적인 양치질만으로도 건강한 치아를 오래토록 유지할 수 있는데, 학교에서의 양치질 실천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청소년들의 구강위생이 취약한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특히 구강관련 치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가 많아 고비용 진료과목으로 꼽히고 있어 저소득층 자녀의 경우 의료기관 이용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양치질을 통한 기본적인 예방에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며 "양치질 교육에 엄격한 가정에 비해 관대한 집단인 학교에서의 양치질 실천율이 낮은 만큼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학교에서의 양치환경개선 사업을 통해 바른 양치 습관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837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