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콘택트렌즈 주요 부작용인 각막결막염, 아토피결막염, 안구건조증(건성안)이 5년 동안 18% 증가하여 약 497만 건 발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양승조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콘택트렌즈 주요 부작용 인 각막결막염, 아토피결막염, 건성안 등 3개 질환의 총 발병건수는 4백9십만건건으로 2010년 4백십만건보다 18% 늘어났고, 질병별로는 각각 5년 새 △각막결막염 49% △아토피결막염 9% △건성안 15% 증가했다.
5년간 3개 주요 질환의 발병률을 살펴보면,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에 비해 각막결막염 1.8배, 아토피결막염 1.6배, 건성안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병 건수가 가장 크게 늘어난 질병은 각막결막염으로 5년 새 49.3% 증가하였고, 성별별로는 여성의 발병건수가 54.7% 늘었다.
콘텍트렌즈 장기 사용 시 가장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건성안의 경우, 렌즈보다는 안경을 주로 착용하는 10세 미만 층에서 남녀발병률이 비슷한 수준이나 본격적으로 렌즈를 사용하게 되는 10-19세 청소년 시기부터는 남녀발생비율이 2.4배 차이가 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4년 기준 10세 미만 안구 건성안 남녀발생건수는 남자 11,890건, 여자 10,991건(여)으로 별반차이가 없으나, 10-19세부터는 남성 30,805건 여성 75,063건으로 현격한 차이를 보였으며, 본격적으로 미용에 관심을 갖게 되는 20-29세 연령대부터는 남성 87,294건, 여성 212,144건으로 2.4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양승조 의원은 “세 질병 모두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은 이유는 여성이 눈 화장을 하고 콘택트렌즈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미용렌즈 등 콘택트렌즈로 인한 또 다른 질병 발생 현황이나 관련 규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성모맑은눈안과 임석범 원장은 "서클렌즈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안구에 공급되는 산소 양이 적어져 충혈되기가 쉽고 제대로 소독을 하지 않으면 결막염, 각막염 등의 감염성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며 "각막은 혈관이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산소를 공급받는데 서클렌즈를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산소 투과가 낮아져 봄철 안구건조증이나 각막염은 물론 각막손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