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 "국내 보고된 적 없는 병원체로 염증 반응이 특성"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보건당국은 건국대학교에서 발생한 호흡기질환의 원인이 국내에 보고된 적이 없는 방선균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호흡기질환을 역학조사 중인 질병관리본부와 민간역학조사자문단은 그간 진행된 분석을 바탕으로 질병특성과 전파경로 추정원인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번 호흡기질환은 10월 19일 최초 환자가 발생한 이후 10월 26일 정점을 보였고, 건물폐쇄가 이루어진 이후 환자발생은 급격히 감소해서 11월 2일까지 총 55명이 발생하였다.
호흡기질환이 발생한 환자들은 모두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의 실험실 근무자들이었다.
동물생명과학대학 건물의 전체 실험실 근무자 254명 중에 55명이 발생한 것으로 봐서 발생률은 약 21.7%의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질병관리본부 양병국 본부장은 "이들의 임상적인 특성은 모두 가벼운 폐렴증상을 보였다"며 "폐렴증상이 가볍다고 하는 것은 비교적 열이 중등도의 열과 가래를 동반하는 기침이 아닌 마른기침을 주요 증상으로 보였고 발병 이후 3일 내지 일주일에 걸쳐 자연스럽게 증상이 회복된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양병국 본부장은 "이번 질환은 사료를 많이 취급하는 실험환경에서 유기분진과 관련된 병원체의 증식이 이루어지고 가동이 중단되었던 환기시스템을 통해서 타 실험실 근무자들에게 확산되어서 집단 발병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환자검체 현미경 소견에서 방선균으로 추정되는 미생물이 관찰되었다"고 밝혔다.
방선균은 토양과 식물체 등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끝에 포자가 있고, 형태적으로는 곰팡이와 아주 비슷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병원체는 통상적인 온도가 아닌 50~60℃의 비교적 고온에서 잘 성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과민성폐장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
양 본부장은 "원인균으로 추정되는 방선균은 국내에 보고가 없었던 방선균으로 의심되고 있다"면서도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