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희대한방병원 최도영 원장 “한방 표준화 통해 급여 확대해야”

병원_의원

by 현대건강신문 2015. 5. 19. 17:57

본문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한방 의료도 임상연구 등을 통해 근거를 마련하고, 치료를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경제 위기 등으로 한의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한방 의료의 표준화와 보험 급여를 늘여 이를 타개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대건강신문>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한의약임상시험센터를 개소하고 근거중심의 한의약 정착에 앞장서고 있는 경희대한방병원의 최도영 병원장을 만나 한의약임상시험센터의 의의와 우리나라 한의계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최 병원장은 “경희대한방병원은 지난해 2월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받고 6월 인증서를 받았다”며 “한의계 병원으로는 처음으로 국가 임상연구시험센터 구축사업 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일종의 혜택인 만큼 선도적인 역할을 하길 원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임상연구시험센터 통해 임상연구 선도적 역할 수행"

특히, 한의계에서 처음 진행하는 과제인 만큼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한의계가 성장하고, 한의학이 세계화하는 데 뒷받침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역량을 모은다는 전략이다.

그는 “경희대한방병원 임상연구시험센터가 현재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과제는 한의약 임상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우선은 한방 임상연구에 맞는 전문가 양성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그 동안의 한의사 수련 시스템이 도제식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는 것. 이 때문에 임상연구에 맞는 전문가 양성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최 병원장은 “지금은 많이 약화되었다고 하더라도 한의계는 알게 모르게 도제관계 식으로 하는 게 많다. 그래서 진료과 표방에 있어서도 보수적인 면들이 많다”며 “하지만 지금은 모든 의료 트렌드가 환자중심이다. 환자들이 가장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도록 질환 중심에 진료과를 센터화 해 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경희대한방병원을 임상연구시험센터로 지정한 이유는 한의계도 임상연구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하라는 뜻이다. 이는 한방진료의 세계화를 위한 필수 조건이기도 하다.

최 병원장은 “근 해외환자 유치가 국내의 한 추세가 되면서 의료원 내 국제의료센터에 러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쪽 환자들이 들어오고 있다”며 “지난해 인천아시아 게임 때도 선수들이 한방병원을 많이 찾았다"고 전했다.

그는 한방진료가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먼저 표준화가 시급한 선결과제라고 지적한다.

"한방 세계화 위해, 먼저 표준화 시급"

실례로 많은 한의사들이 개원 후에도 대학에서 배웠던 처방과 한약재들을 나가서도 쓰기를 원하지만, 이것이 쉽지 않다. 대부분 비슷하게 하나하나 자기만의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근거 창출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최 병원장은 “표준화된 약재를 갖추고, 처방에 대한 임상연구를 통해 에비던스(근거)를 마련해 표준화된 처방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근거중심의 표준화된 처방을 공유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건강기능식품과 관련해서도 한의계에서 이를 배척할 것이 아니라 이를 한의약에 끌어들여 고급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최 병원장은 “한의계 전체에 건기식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건기식을 한방이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성 한의사들이 보약에 치중해 건기식이 보약시장을 잠식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

이에 그는 “좀 더 유연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고품격화된 건강식품을 개발하고 생산해서 이런 건기식은 한의원에서만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며 “가정의학과에서 건기식을 팔듯이 한의원에서 고품격 건기식을 판매한다면 한방의 돌파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한약과 침만으로 2만5천명의 한의사들이 파이를 나누기는 현실적으로 힘든 만큼 건기식은 또 다른 기회가 될 것이란 게 최 원장의 생각이다.

"한의계 문제 해결 위해 '급여 확대' 선결돼야"

그는 특히 한의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문제로 ‘급여확대’를 꼽았다.

최 병원장은 “우리나라 의료체계가 급여에 맞춰져 있는데, 한방은 비급여가 많아 국민들이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며 “우리나라 의사 수는 11만 명, 한의사는 2만5천명이다. 비율로 따지면 보험 수가의 25%는 가져가야 하지 않냐”고 반문했다.

급여에 맞춰져 있는 의료체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결국 급여 항목을 늘릴 수 있도록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 병원장은 “내년에 추나 요법 등에 대한 급여화가 검토되고 있지만, 한의계에서 조차 임상연구나 논문을 통해 진료의 표준화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며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이것이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이뤄져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최근 의료계와 밥그릇 싸움으로 비춰지며 논란이 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과 관련해서도 국민 건강이라는 대승적인 관점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최 병원장은 “전체 국민건강이라는 관점에서 진료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정확한 진단이 국민건강에 도움이 된다면 정부가 대승적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한의계도 교육이 부족하다면 이를 어떻게 보충할 수 있을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933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