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온 현상·큰 일교차로 식중독 주의보...음식물 섭취 주의해야

건강식품

by 현대건강신문 2017. 5. 7. 07:32

본문

조리 종사자 특히 위생관리 철저히 해야

[현대건강신문]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최근 때 이른 고온현상과 큰 일교차로 식품 관리에 조금만 소홀해도 식중독 발생이 예상된다며 음식물 보관·관리·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무더운 날씨가 일찍 찾아온 올해는 식품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매년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던 ▲바닷가 횟집 등 특별점검 및 검사 ▲휴가철에 인파가 몰리는 고속도로 휴게소 등 집중점검 ▲빙과, 음료, 냉면 등 수거·검사 ▲식중독 예방 홍보 등을 5월부터 앞당겨 집중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횟집 등에서 익히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회는 비브리오균 등 위해성 세균이 오염되어 증식할 경우 비브리오패혈증 등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어 조리종사자 대상으로 개인위생관리 등 식중독 예방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간 질환자, 당뇨병 환자 등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의 경우 어패류를 날로 먹지 말고 85도 이상 가열 섭취하여야 하며, 상처가 난 사람은 오염된   바닷가에 들어가는 것을 삼가야 한다.


다음은 단계별 식품 안전관리 방법이다.


▲식재료 구입·운반·보관 시


식재료는 필요한 양만큼만 상온보관 식품부터 냉장·냉동식품의 순으로 유통기한․표시사항을 잘 확인하여 신선한 식품을 구입하도록 한다.
 
식재료 구입은 밀가루, 식용류 등 냉장이 필요 없는 식품→과일․채소→햄, 어묵 등 냉장이 필요한 가공식품→육류→어패류 순서로 한다.


식품을 운반․보관할 때는 아이스박스, 아이스팩 등을 이용하여  10℃ 이하 냉장상태로 차갑게 운반해야 한다. 


특히 더운 여름에는 음식물을 차에 오랫동안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조리 시


조리할 때는 조리 전 비누 등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닭 등 가금류, 수산물 등을 세척할 시에는 주변에 날로 섭취하는 채소, 과일 등에 물이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은 칼·도마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육류, 가금류, 계란 및 수산물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하여야 한다. 


특히 냉면, 콩국수를 조리 시에는 육수와 콩국을 가열 조리한 후에 위생적으로 신속하게 냉각시켜야 한다.


올바른 냉각 방법은 △여러 개의 금속용기에 나눠 담기 △싱크대에 차가운 물이나 얼음을 채운 후 큰솥이나 냄비를 담그고 규칙적으로 젓기 △급속 냉각장치를 사용하기 등이다. 


▲섭취 시


조리한 음식은 상온에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가능한 빨리 섭취해야 하며, 날로 섭취하는 채소, 과일은 깨끗이 세척하여 섭취해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