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들이 많은 봄철, 식중독 발생도 가장 많아

건강 경보

by 현대건강신문 2015. 4. 1. 11:44

본문





도시락이나 봄나물 섭취에 각별히 주의해야

[현대건강신문=채수정 기자] 벚꽃놀이, 현장학습 등 나들이와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은 도시락, 봄나물 등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식품 보관·섭취, 개인위생, 봄나물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5년간 식중독 환자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식중독 환자의 평균 35%가 4월에서 6월 사이에 발생하므로 나들이가 많은 봄철 식중독에 특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봄철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침·저녁 기온이 여전히 쌀쌀하여 음식물 취급에 대한 경각심이 떨어지고, 야외활동으로 장시간 음식물이 방치되는 등 관리 부주의로 분석된다.

또한, 야산이나 등산로 주변에서 자생하는 자리공, 여로 등 독성식물을 식용나물로 오인하여 섭취하거나 원추리와 같이 미량의 독성이 있는 나물을 잘못 조리·섭취하여 식중독이 발생하고 있다. 

나들이 '도시락', 자동차 트렁크에 보관하지 않아야

봄철 나들이 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도시락 준비 요령으로는 조리 전 비누를 이용하여 올바른 손 씻는 것이 중요하다. 또 과일·채소류 등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고 조리 음식은 중심부까지 완전히 익혀야 한다. 음식은 1회 식사량만큼 준비하고 밥과 반찬은 식힌 후 별도 용기에 따로 담고, 김밥을 준비할 경우 밥과 재료들을 충분히 식힌 후에 만들어야 한다.

도시락을 보관하는 것도 중요한 데, 조리된 식품은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지 않고, 가급적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하여 10℃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며,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트렁크에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도시락을 먹을 때에도, 식사 전에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은 함부로 마시지 않아야 한다.

원추리, 어린 순만 섭취하고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 먹어야

봄철 식중독의 또 다른 원인인 봄나물을 안전하게 먹기 위해서는 주로 생채로 먹는 달래, 돌나물, 씀바귀, 참나물 등은 식중독균이나 잔류농약을 제거하기 위해서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이상 깨끗이 씻은 후 조리해야 한다.

식용 가능한 봄나물 중에서도 두릅, 다래순, 고사리 등의 경우 미량의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 독성분을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한다.

특히,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콜히친이란 독성분이 강해지므로 반드시 어린 순만을 섭취하여야 하며,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친 후 차가운 물에 2시간 이상 담근 후 조리하여야 한다.

또한 박새, 여로 등 독초의 어린 순은 봄나물로 오인되기 쉬우므로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식약처는 음식물 취급과 섭취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안전하고 즐거운 봄나들이가 될 수 있다며, 식중독 예방 사이트(www.mfds.go.kr/fm) 또는 모바일 웹(m.mfds.go.kr/fm)을 활용하여 평소 식중독예방 3대 요령인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생활화를 당부하였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832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