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더운 여름 심한 운동후 열피로의 증상 느껴

환경_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5. 8. 11. 08:40

본문




옷 느슨하게 풀어주고 의식 있으면 물 마셔야

[현대건강신문] 폭염이 이어지면서 한강시민공원에서 농구 등 운동으로 더위를 잠시나마 잊으려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밤에도 기온이 25도가 넘는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체력 소모가 심하다.

특히 심한 운동후 체온이 상승하고 두통, 현기증 등 탈수증상이 나타나면 열피로 등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번주 금요일인 14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바캉스 막바지 황금연휴가 될 전망이다.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해변의 짜릿함을 즐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숲과 계곡의 고즈넉함을 찾아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다. 

과도한 고온 노출.. 체온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겨

사람은 외부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체온을 유지하는 항온동물이다. 폭염과 같은 고온환경에서 작업이나 활동을 계속할 경우 피부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땀을 흘리는 등 생리적 반응으로 열을 발산시켜 체온을 조절한다. 

그러나 고온환경에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우리 몸의 열 소실 반응이 손상되어 체온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겨 열사병 등의 고온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영유아, 노인 및 만성질환자는 더위에 취약하다. 을지대학교병원 성원영 교수는 “사람의 몸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땀샘이 감소해 땀 배출량이 줄어들어 체온을 낮출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된다”며 “또 어린이는 탈수를 감지하는 능력과 저항성이 떨어지고, 체온 조절기능이 성인에 비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서 노인과 마찬가지로 폭염에 위험한 군”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고혈압, 심장병, 당뇨나 혈액투석 등 을 받고 있는 만성 질환자, 비만한 사람, 야외에서 장시간 일하는 노동자나 독거노인 등도 폭염에 위험한 군이다.
 
더위로 나타나는 증상들

폭염에 장시간 노출되면 불쾌감이나 권태감, 집중력 저하 등의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야간의 불면증, 두통, 구토,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경우 체온의 상승, 현기증, 근육의 경련을 비롯하여 실신이나 의식 변화 등의 증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

또 △땀샘의 염증으로 인한 열 발진, 발과 발목의 부종이 생기지만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 열 부종, △말초혈관 확장과 혈관 운동의 톤이 감소하여 나타나는 체위성 저혈압에 의한 실신이 발생하는 열 실신 △땀으로 과도한 염분 소실이 생겨 근육의 경련이 발생하는 열 경련 △불충분한 수분 섭취 및 염분의 소실로 인해 두통과 구역 △구토 및 위약감을 동반하는 일사병 △체온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 기관의 손상을 가져와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열사병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점은?

열사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 과도하게 노출될 때 우리 몸의 체온조절기능에 장애가 오며 발생한다. 보통 섭씨 40도 이상으로 심부 체온이 상승하고, 땀 분비가 줄어들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의식이 저하되고 경련발작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일사병은 열 탈진이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데, 고온 환경에서 일을 하는 동안 체내의 수분과 염분이 과다하게 손실되어 발생한다. 체온이 상승하더라도 섭씨 40도 미만이며, 구토나 근육경련,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열사병과 달리 의식 장애를 동반하지는 않는다. 

특히 열사병은 신부전이나 간부전등의 장기손상이나 혈액장애등으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고, 특정한 전구증상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아주 많아서 무엇보다도 예방이 중요하다.
 
환자 발생 시 이렇게 응급처치를!

더운날 야외에서 활동하다 두통이나 어지럼움, 메스꺼움등의 증상이 생긴다면 바로 그늘로 가서 휴식을 취하며 몸을 식히거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휴식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반드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하며 경련이나 실신, 의식 저하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바로 119등에 신고를 하여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즉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옷을 벗기고 몸을 식혀주어야 한다.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 충분한 염분 섭취 없이 수분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체내의 전해질 조성에 이상이 발생하여 경련 등의 이상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어떻게 건강관리를 해야 할까?
 
무엇보다 무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피하고, 서늘한 아침이나 저녁시간을 이용해 일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실내 환경 또한 너무 덥거나 춥지 않도록 냉방장치를 적절히 활용하여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고 활동 시에는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하고, 땀을 많이 흘렸을 때는 이온 음료 등으로 염분과 미네랄을 보충해야 한다. 

옷은 가볍고 밝은 색의 옷, 헐렁한 옷을 입고 야외 활동 시에는 뜨거운 햇빛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모자와 선글라스, 자외선차단제 등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0947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