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 오는 7월부터 연말까지 장기요양수급자가 집에서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통합재가서비스' 시범사업이 시행된다.
현재는 수급자가 △방문요양 △간호 △목욕 등 서비스 제공기관을 각각 찾아가 서비스를 신청하고 서비스도 따로따로 제공받지만 통합재가서비스는 통합재가기관에 신청하면 필요한 서비스를 한 번에 받을 수 있어 서비스 이용이 보다 편리해진다.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통합재가서비스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지난 9일 제4차 장기요양위원회에 보고했다.
장기요양수급자는 97%가 치매, 뇌졸중, 관절염 등의 만성질환을 1개 이상 가지고 있고 85%가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있어, 재가생활을 위해 적절한 의료 또는 간호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는 공급자가 제공하기 쉬운 단순 가사지원의 방문요양에 편중된 반면 방문간호 이용은 약 2%에 그쳐, 아울러 방문요양, 방문간호 등 개별 서비스가 나뉘어 제공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복지부는 "통합재가서비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수급자의 잔존능력을 최대한 유지하고 재가생활(Aging in Place)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수급자가 서비스를 신청하면 통합재가기관은 욕구조사 및 상담을 통해 서비스 제공계획을 수립하고, 방문요양은 한 번에 장시간(4시간) 방문하는 대신 식사준비 등수급자 필요에 맞춰 단시간(1∼3시간) 수시로 방문하고 방문간호는 예방적 차원의 건강관리를 위해 주 1∼2회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간호처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건강·의료정보 방송-쇼닥터 간 커넥션 끊을 가이드라인 필요 (0) | 2016.06.22 |
---|---|
공공기관 경영평가..건보공단 A, 심사평가원 B (0) | 2016.06.17 |
전혜숙 의원 "국회 재입성 계기로 보건의료 원조 실적 늘릴 것" (0) | 2016.06.14 |
양승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사회양극화 해결 없이 미래 없어" (0) | 2016.06.13 |
20대 국회 상임위...보건복지위원회 (0) | 2016.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