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3 지방선거 건강 형평성 확보를 위한 서울경기 시민사회 연대 모임은 18일 서울 NPO 센터에서 “서울의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서울시 소득이 낮은 시민들은 높은 시민들보다 건강하게 사는 기간은 10.9년 짧고, 수명은 5.8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6.13 지방선거 건강 형평성 확보를 위한 서울경기 시민사회 연대 모임(이하 연대모임)은 18일 서울 NPO 센터에서 “서울의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연대모임과 한국건강형평성학회가 공동 개최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한국건강형평성학회가 제작한 서울시와 서울시 25개 구 별 ‘건강격차 프로파일’을 공개했다.
서울시 건강격차 프로파일에 따르면, 서울시의 건강수명(남녀전체)은 69.7세였으며, 서울시에서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초구 74.3세, 가장 낮은 지역은 금천구로 67.3세였다. 또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 건강수명 격차는 10.9년이었으며, 서울시에서 소득 5분위 간 건강수명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종로구로 14.4세에 이르렀다.
출생 후 0세부터 향후 몇 살까지 살 것인지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를 나타내는 기대수명 역시 서울시에서 강남구가 84.8세로 가장 높았고, 금천구가 81.7세로 가장 낮았다.
특히 서울시에서 기대수명의 소득수준 간 격차에 기여하는 3대 사망원인은 뇌혈관장애, 자살, 폐암 순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 건강격차 프로파일’을 발표한 이화여대 정최경희 교수는 “서울시의 소득 간 기대수명 격차 5.9세 중 뇌혈관장애는 0.58세, 자살은 0.47세, 폐암은 0.30세, 당뇨는 0.28세만큼 기여하고 있다”며 “이들 4개 사망원인에서 소득 간 격차를 없애면 격차의 27.6%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건강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들 정책적으로 재구성해야"
‘서울시 건강격차 프로파일’을 발표한 이화여대 정최경희 교수는 “서울시의 소득 간 기대수명 격차 5.9세 중 뇌혈관장애는 0.58세, 자살은 0.47세, 폐암은 0.30세, 당뇨는 0.28세만큼 기여하고 있다”며 “이들 4개 사망원인에서 소득 간 격차를 없애면 격차의 27.6%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시군구별 지역박탈지수와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 격차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 이는 건강불평등의 근원이 사회구조요인 때문이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격차는 서울시내 모든 자치구에서 확인되고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역·계층 간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해서 건강문제에 대한 포괄적 관점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역은 어떻게 건강에 이롭고 공평하게 작용하는가를 주제로 발표한 기명 고려대 교수는 “지역은 건강과 건강형평성의 중요한 매개 공간”이라며 “지역보건의 영역에서 주민참여를 통한 민주적 접근과 건강영향평가, 건강도시 등을 통한 협력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박유미 과장은 서울시는 2012년 이후 건강정책을 발표할 때마다 건강격차에 대한 내용이 담겼으며, 조례에서도 건강격차 해소를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과장은 “서울시는 건강격차 해소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오고 있고, 이로 인해 기대수명, 건강수명이 증가하고 있다”며 “그러나 전체적인 소득수준에 따른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사업들이) 잘 진행됐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들의 평가 문제는 영국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런던 플랜에서 건강불평등 정책으로 기대여명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사업으로 저소득지역의 건강수준은 좋아졌지만, 소득별 격차는 줄이지 못한 것이다.
박 과장은 “결국 건강격차가 단순한 보건·의료 문제가 아니라 환경, 고용 등 사회적인 문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기 때문”이라며 “서울의 건강격차 해소 문제는 여전히 아쉽고 숙제가 많다.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추진을 하면 건강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인의 날 맞아 발달장애아 부모들, 호소문 발표 (0) | 2018.04.20 |
---|---|
사회복지사업 특례업종 폐지...여당 “후속 조치 방안 마련” (0) | 2018.04.18 |
환자안전법 허울 뿐...안전사고 보고, 10곳 중 2곳 불과 (0) | 2018.04.18 |
[사진] 장애인 일자리 위해 손잡은 건보공단-장애인단체 (0) | 2018.04.13 |
전 복지부장관 유시민 썰전서 “의협 최대집, 문재인 케어 못 막아”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