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에이즈 환자가 26일 오전 서울 을지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 도중 고개를 숙인 채 무엇을 생각하고 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에이즈 환자가 줄어들고 에이즈 예방법으로 환자들의 치료비 부담이 없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지만 아직도 많은 에이즈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거리로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로 에이즈 예방과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는 12월 1일에는 보건복지부의 후원으로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에이즈의 날'을 맞아 캠페인이 열리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에이즈 환자들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26일 서울 을지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는 요양병원에 입원하지 못한 중증에이즈 환자와 에이즈 관련 보건의료단체 활동가들이 기자회견을 열었다.
에이즈인권연대 나누리 관계자는 "전국에 1,300개에 달하는 요양병원이 있지만 에이즈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요양병원은 없다"며 "그나마 유일한 요양병원이었던 수동연세요양병원에서 인권침해가 발생해 그곳에 치료 받는 것도 힘든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수동연세요양병원에서 인권침해 의혹이 제기된 뒤 작년 12월 질병관리본부는 위탁 계약을 해지했다.
그 후 1년이 지났지만 에이즈 예방법에 따라 에이즈 환자들이 입원할 수 있는 요양병원을 설치할 책임이 보건복지부에 있지만 문형표 복지부 장관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상황을 살펴보겠다"는 말을 할뿐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건강세상네트워크 김정숙 활동가는 "요양병원 문제가 제기된 지 1년이 넘었지만 복지부는 대책 마련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기관 HIV감염인 상담 사업이 진행되는 병원에서도 에이즈 환자 수술거부가 이어지고 있다.
수술거부가 반복되자 2011년 7월 국가인권위원회는 '특수장갑이 없어 수술을 할 수 없다'는 대학병원과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보건복지부에 동일한 인권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
나누리측은 최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이 에이즈 환자에 대한 중이염 수술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나누리 관계자는 "HIV감염인 상담사업이 진행되는 병원에서 HIV감염인에 대한 수술거부가 발생했다는 점은 몇몇 병원만의 잘못이 아니라는 의미"라며 "복지부는 최소한 상담사업을 하는 전국 19개 종합병원에 에이즈 환자에 대한 수술이 가능한지 조사를 진행하고 결과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5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