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식사 자주 거르면 공복 혈당장애 위험 1.3배 증가

건강식품

by 현대건강신문 2017. 12. 27. 10:26

본문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건강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식사를 자주 거르면 당뇨병의 전(前)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공복(空腹) 혈당장애가 올 가능성이 1.3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불규칙적 식습관, 특히 아침을 거르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2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팀이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4년)의 원자료를 토대로 당뇨병이 없는 성인(19∼65세) 6731명의 아침 식사를 포함해 식사를 거르는 습관과 공복혈당장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 교수팀은 매일 1회 이하(주 7회 이하) 식사를 거르는 사람을 규칙적 식사 그룹, 이보다 더 많이 식사를 거르는 사람을 불규칙적 식사 그룹으로 분류했다. 당뇨병 환자는 아니면서 공복혈당 100 이상 126 ㎎/㎗ 미만인 사람을 공복 혈당장애로 간주했다.


식사를 자주 거르는 불규칙적 식사 그룹의 평균 공복 혈당은 94.1 ㎎/㎗로, 규칙적 식사 그룹(92.7 ㎎/㎗)보다 2 ㎎/㎗ 가량 높았다.


식사를 자주 거르는 그룹(불규칙적 식사)에서 공복 혈당장애 발생 가능성은 식사를 잘 거르지 않는 그룹(규칙적 식사)에 비해 1.27배 높게 나타났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식사 하면 당뇨병과 관련된 호르몬인 인슐린이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분비돼 혈당 조절에 관여한다”며 “공복 상태에선 인슐린 분비가 저하되고, 공복이 길어져 체내 저장된 글리코겐이 고갈되면 간세포는 당(糖)을 생산한다”고 설명했다.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공복은 결국 체내의 당 대사에 영향을 미쳐 혈당조절에 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2002∼2011년에 35∼66세 일본의 참치 노동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코호트 연구에서도 아침 식사를 거르면 2형(성인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은 사람에 비해 1.73배 높았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특정 끼니에 상관없이 식사를 거르는 습관 자체가 공복 혈당장애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이는 향후 당뇨병 발생의 위험요인이 되므로 당뇨병을 예방하려면 규칙적 식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