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땀 냄새가 두려워지는 계절이다. 한국인 1백명 중 5명이 가지고 있다는 액취증, 비록 생명을 위협하는 큰 질병은 아니지만, 냄새로 인해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기는 등 사회생활 전반에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요주의 질환임에는 틀림없다.
흔히 액취증은 수술 하면 대부분 흉터가 크게 남거나 얼마 안 있어 재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적은 수술자국만 남기고 재발률도 3% 미만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냄새나는 땀 따로 있다
액취증이란 그리스말로 ‘불쾌한 냄새’ 혹은 ‘악취’를 뜻하는 Bromos라는 단어와 ‘땀’을 뜻하는 Hidros의 복합어로 ‘악취나는 땀’이란 뜻이다.
액취증이 있다고 해서 특별히 건강에 해로운 것은 아니지만 냄새 때문에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는다면 문제가 있다. 액취증으로 고민하는 환자들 중에서 대인관계에서도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게 되고, 위축감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 몸에는 에크린땀샘과 아포크린땀샘이 있는데, 이중 악취를 풍기는 아포크린땀샘을 일반인보다 많이 갖고 있는 사람들이 액취증에 시달린다. 아포크린땀샘은 흔히 겨드랑이 밑이나 젖꼭지, 외음부, 항문 주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젖은 귀지가 있는 사람의 경우는 현재 액취증이거나 이후 액취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수술을 선택하게 되는 간단한 자가 진단법이라 할 수 있다.
땀샘 활성화되는 사춘기에 빈발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우리 국민 1백 명중 5 명 정도가 심한 액취증에 시달리고 있으며 성비는 남자 45%, 여자 55%로 여자가 약간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생리 전후에 많이 나타나고 폐경 이후의 노인에게는 발생하지 않는다. 대개 마른 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에게 많다.
시기적으로 볼 때 액취증은 아포크린땀샘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는 사춘기에 많이 발생한다. 사춘기는 대인관계 형성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서둘러 시술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이 증상은 가족력이 강한 유전적 질환이기 때문에 가족 내 발생률이 70~80%로 높다. 발현되는 계절은 여름, 봄, 가을, 겨울 순이다. 액취 정도는 양측 겨드랑이가 다를 수 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액취증 치료 방법은 샤워를 자주하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고 다니며 속내의를 자주 갈아입는 정도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겨드랑이에 털이 많이 있으면 아무리 자주 씻어도 악취를 막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겨드랑이 털을 짧게 깎고 파우더를 뿌려 건조하게 해주어야 한다.
살균제가 포함된 약용비누나 약국에서 0.3% 농도의 포르말린 희석액을 구입해 발라주는 것도 일시적으로 도움이 된다. 하지만 액취증을 근본적으로 없애는 것은 수술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심하지 않다면 이 정도 노력만으로도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다.
안면홍조 환자 대인관계 어려움 겪어...68% 술 취했다는 오해 받아 (0) | 2016.06.15 |
---|---|
키스데이...연인 배려 '입 냄새'부터 없애야 (0) | 2016.06.14 |
세상 편견에 종지부 찍은 선천성심장병환우들의 한라산 원정 (0) | 2016.06.08 |
비타민D 아토피 증상 완화시켜...국내 어린이 10명 중 8명 부족 (0) | 2016.06.07 |
골반장기탈출증 방치하면 방광 기능 이상 초래 (0) | 2016.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