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 지난 5일 제주도 추자도 인근 앞바다의 낚싯배 사고로 또다시 아까운 생명들이 희생됐다.
세월호 참사를 겪은 지 1년이 훨씬 넘었지만 안전 의식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또 다시 나오고 있다.
정치권도 여야 모두 정확한 진상조사와 안전대책 수립을 강조했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7일 최고위원 회의에서 "아직 실종자가 남아있는 만큼 관계당국은 실종자 수색에 최선을 다해주시기 바라며 실종자들의 무사귀환을 기원한다"며 "사고 분석을 통해 향후 재발방지를 위한 문제개선에 총력을 다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의 교훈이 가시기도 전에 이번 사고에서도 안전관리나, 안전의식에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세월호 이후의 안전대책이 수포가 됐다"며 "전국의 수없이 많은 소형 낚시 어선들은 여전히 안전사각지대였을 가능성이 커 전면적인 안전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세월호 이후 해양경찰청은 해체되고, 국민안전처가 신설되었음에도 해상안전관리문제는 전혀 개선이 되지 않았다"며 "이번 국감에서 세월호 이후에 해상안전관리체계와 사고 발생시에 구조 당국에 업무협조, 국가종합체계를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승선인원이나 명단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배의 안전관리 책임이 선주나 선원에게만 있어 8년간 단 한 번의 안전점검도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생존자 증언에 따르면 생존자 대부분이 ‘비에 젖은 구명조끼가 불편하다’는 이유로 입지 않아서 생존자가 적었던 것으로 보여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인재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주승용 최고위원은 "이번 사고도 낚싯배에 도대체 몇 명이 탔는지 정확한 인원파악도 안될 정도로 관리체계가 허술했던 것 같다"며 "대통령도 국가대개조를 말하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국민들은 불안 속에서 살고 있다"고 말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31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