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저출산시대...공공 정자은행 없는 한국...중국도 국가차원 지원

정책_건강

by 현대건강신문 2014. 9. 24. 09:52

본문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추가적으로 국가 차원의 정자은행을 만들어야 한다"


정관절제술 등 영구불임술, 방사선치료, 항암치료 등 정자형성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수술 전에 정자를 보관해 인공수정에 이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자은행이란 정자를 채취한 뒤 동결보존액과 혼합하여 작은 용기에 넣어 영하 196도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동결시켜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 필요한 양만을 녹여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아기시술 등의 보조생식술에 이용하는 보관시설이다.

남성불임의 약 30%이상을 차지하는 일차성 정자형성장애나 난치성 감정자증을 가진 환자는 체외수정과 같은 보조생식술로 치료가 어렵거나 매우 낮은 치료 성공률로 인해 인공수정으로 2세를 가지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박남철 전 부산대병원장(비뇨기과 교수 오른쪽 사진)은 2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남성불임환자의 약 60% 이상에서는 유전자 이상이 동반되며 그중 약 1/3을 차지하는 Y염색체 장완의 미세결손에 의한 남성불임은 다음 세대에 유전적 결함이 전이됨으로써 체외수정에 의해 자식을 얻는다고 해도 다음 세대에 불임의 재발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한때 정자은행을 운영하기도 했던 박남철 전 원장은  '공공' 정자은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전 원장은 "원장을 맡기 전부터 정자은행을 운영하며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만들려고 했는데 잘 안됐다"며 "저출산 극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불임으로 아이를 갖지 못하는 부부를 위한 정자 은행을 국가에서 운영하는 것은 출산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정자은행 네트워크'를 재건하기 위해 올해 초 보건복지부에 '한국 국가 정자은행사업단의 설립과 운영을 위한 연구' 용역을 제출하기도 했다.

일본과 중국의 사례를 든 박 원장은 "한 가정에서 한 아이만을 고집하는 중국도 공공정자은행이 있고 일본은 불임 부부를 비롯해 독신녀도 아이를 가질 수 있도록 정자은행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중국은 1세대 1명의 산아제한 정책 시행 중에도 각 성에 1개의 공공정자은행을 설립하여 난치성 불임 환자에게 가임의 기회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상업적 정자매매를 인정해 민간이 정자은행을 운영하며 독신녀에게 정자를 제공하고 있다.

상업적 정자매매가 인정되는 미국에서는 매년 약 3만 명이 공여정자를 이용해 출산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에서 불임 해결을 위한 정자은행 운영은 전혀 없는 상태.

박 원장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많은 방법을 내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현재 기술이 많이 발전돼 있어 동결한 정자로 임신에 성공한 사례는 많아 우리도 아기를 낳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정자은행 설립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444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