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노안 예방에, 안구운동과 녹황색 채소·율무·블루베리 등 도움
[현대건강신문=김형준 기자] 30대 직장인 A 씨는 출퇴근 시간 지하철에서 스마트폰 e북을 통해 책 읽는 것을 즐겨한다. 그런데 흔들리는 지하철 안이라서 인지 자꾸만 가까이 있는 글자들이 안 보이거나 시야가 침침해지는 등 독서가 편하지 않음을 느끼게 됐다.
A씨의 경우처럼 중장년층에게서 주로 나타나던 노안이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디지털 기기의 잦은 사용으로 30대에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작은 글씨를 가까이에서 보는 것보다 멀리 두고 보는 것이 더 잘 보이는 경우, 안경 착용자라면 안경을 벗고 보는 것이 더 잘 보이는 경우 노안이 시작되었다고 의심해 봐야한다.
동아대병원 등 세 곳이 지난해 안과 환자 8백 명을 조사한 결과, 36살부터 40살까지 노안 환자 비율이 지난 2006년 3%에서 2011년 7%로 5년 새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노안 환자가 급증하는 주원인으로 지목된 것이 바로, 컴퓨터와 스마트폰. 이 문명의 이기들이 현대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면서 젊은 노안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젊은층 노안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법이 중요하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전혀 하지 않을 수는 없는 만큼 중간중간 눈을 떼고 눈에 휴식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강한 자외선에 눈이 직접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컴퓨터 모니터의 위치를 15~20도 정도 조절해 아래로 내려다볼 수 있도록 해야 눈의 피로를 피할 수 있다.
노안은 노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하지만 개인의 노력으로 노안이 오는 시기를 늦출 수는 있다.
평소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녹황색 채소, 율무, 블루베리, 당근 등을 챙겨 먹음으로 노안을 조금이나마 예방할 수 있다. 또 일하는 틈틈이 눈을 감거나 안구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휴식을 통해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도 좋다.
노안을 방치하게 되면 시력감퇴, 여러 가지 안질환 등 실명의 위기까지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시력검안을 통한 눈 관리가 필요하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9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