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난 10년간 자궁경부암 줄고 자궁체부암 늘어

by 현대건강신문 2014. 9. 5. 09:43

본문



문정림 의원 “50대 고위험군 여성 대상 선별검사 도입해야”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지난 10년간 자궁경부암을 줄었지만, 자궁체부암은 오히려 늘어 50대 이상 고위험군 여성들을 대상으로 국가건강검진 등에 선별검사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문정림 의원(새누리당)이 국립암센터로부터 제출받은 2002~2011년 암 발생현황 자료를 토대로 자궁암의 발병추이를 분석한 결과, 자궁경부암은 감소하고 자궁체부암 환자는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내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2002년 여성 10만명당 18.4명에서 2011년 여성 10만명당 14.9명으로 약 20% 감소한 반면, 자궁체부암 발생률은 2002년 여성 10만명당 3.9명에서 2011년 여성 10만명당 7.7명으로 약 2배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1년 국내에서 자궁경부암은 20세 이상 여성에 발병하였으며 대체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병률도 높았다. 이에 반해 자궁체부암은 50대 여성에서 10만명당 10명을 상회하는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자궁경부암은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이 주된 원인이나, 자궁체부암은 호르몬 분비, 식습관 및 비만여부,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 여부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특히 폐경 후 여성에게 자궁체부암 발생률이 높은 것은 여성호르몬 과다분비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문 의원은 “자궁경부암 발생이 감소한 것은 조기진단법의 발달과 국가암검진사업과 같은 조기진단 제도의 마련,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이 그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자궁체부암의 경우 이른 초경과 늦어진 폐경, 늦어진 출산이라는 사회적 요인, 그리고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비만 증가가 여성호르몬의 일종인 에스트로겐 과다분비를 촉발하면서 발생률이 증가했다는 것이 문 의원의 설명이다.
 

문정림 의원은 “서구에서는 자궁체부암이 자궁경부암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자궁체부암과 자궁경부암의 발생이 역전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자궁체부암 조기진단 정책으로서 우선적으로 50대 고위험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선별검사의 국가검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건강신문 기사링크]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409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