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판 니콜스 교수, 동맥경화용제로써 스타틴의 역할과 효과 밝혀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그동안 스타틴은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됐지만, 지금은 동맥경화증을 치료하는 약으로써 더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스테판 니콜스 호주 아델레이드대 교수(위 사진)는 혈관 이미징 기법이 발전하면서 동맥벽전체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면서 스타틴의 효과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현대건강신문>은 17일 서울 중구 소공동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크레스토 ‘갤럭시 심포지엄’에서 니콜스 교수를 만났다.
동맥경화 치료요법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혈관 내 초음파를 사용하는 임상연구의 선두역할을 하고 있는 니콜스 교수는 ASTEROID, SATURN 등의 스타틴의 동맥경화 지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된 대규모 임상연구의 책임연구자다.
혈관 영상화 기법, 스타틴이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 밝혀
니콜스 교수는 “혈관 영상화가 가능해지면서 죽상동맥경화에 따른 심혈관계의 부담, 혈전의 양과 조성을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또한 어떤 인자들이 동맥경화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치료가 진행을 역전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특히, 환자의 플라크 부피와 심혈관 사건의 위험과의 상관관계가 확인돼 총체적인 심혈관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니콜스 교수는 특히 혈관 내 초음파인 IVUS(IntraVascular UltraSound)에 주목했다.
그는 “IVUS는 고해상으로 동맥벽 전체 단면을 모두 확인할 수 있고, 플라크를 세분화하여 정확한 부피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량화가 가능하다”며 “다양한 시점에서 이미징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라크의 버든과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질병의 진행 속도와 역행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진행된 IVUS를 이용한 고용량 스타틴 치료 연구인 REVERSAL Study 결과 LDL-C의 목표치를 110 mg/dl로 한 그룹에서는 연구 종료 시점에서 프라바스타틴군에서 오히려 플라크가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LDL-C의 목표치를 79 mg/dl까지 낮춘 치료군에서는 플라크가 증가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LDL-C를 80 mg/dl 미만으로 유지했을 때, 동맥경화의 진행을 막을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고강도 스타틴 치료, 당뇨환자·급성관상동맥증후군서도 효과 커
또 로수바스타틴과 아토르바스타틴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인 SATURN 연구에서는 스타틴을 통해 LDL-C를 감소시키고, HDL-C를 어느 정도 수준까지 올리게 되면, 동맥경화의 퇴행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니콜슨 교수는 “ 특히 크레스토의 경우, 이러한 효과에 대한 가능성이 더 높았다”며 “2/3의 환자들이 질환의 퇴행을 보였고, 이를 통해 고강도 스타틴 치료가 동맥경화를 지연시킬 수 있고, 효과가 좋은 경우에는 역행까지 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한 당뇨 환자의 경우에도, SATURN 연구에서는 당뇨 환자가 아닌 경우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퇴행이 나타났다.
니콜슨 교수는 “이 같은 연구결과는 당뇨 환자들도 마찬가지로, 적극적인 고강도 스타틴 치료가 이루어질 경우 질환 역행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시킨 것”이라며 “당뇨병 이외에도 ACS(급성관상동맥증후군)를 가진 환자에서 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혈관 영상화 기법들을 하나의 바이오마커로 활용하면 교정가능성이 큰 환자와 고강도 스타틴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선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러한 혈관 영상화 기법들을 실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기기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바꿔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더욱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ttp://hnews.kr/n_news/news/view.html?no=24337